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에 대해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등 사전적 방역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해외유입 확진자가 서남아시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지난 한 주간 90명이 발생해 그 전 주 48명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모든 해외입국자는 입국 후 3일 내 진단검사를 받고 2주간 자가격리를 의무화해 아직까지 지역감염으로 확산된 사례는 없다”면서도 “다만 입국 과정에서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방역당국은 코로나19의 지역감염과 해외유입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위기 상황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해외입국자 관리 강화를 위해 입국자 대비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를 대상으로 내일부터 신규 비자 발급 제한 등 사전적 예방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무더위 속 의료인력의 업무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냉각 조끼를 추가 배포하고 휴식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업무가 폭증한 지역에 대해서는 교대 근무 인력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통기성이 높은 수술용 가운과 냉각 조끼를 배포하고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모든 선별진료소에 냉·난방기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수도권에 약 400개 냉각 조끼를 배포했다”며 “추가적으로 1000개를 배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어제는 다소 주춤했지만 수도권에서 시작된 집단감염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국 어디도 안전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어떤 조치보다도 나와 가족, 우리 공동체를 지키는 효과적 방법은 개개인의 방역수칙 준수”라고 강조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