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보좌관이 1차 북미 정상회담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한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닌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문재인 대통령은 ‘조현병 환자 같은’이라고 폄훼하기도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현지시각으로 23일 출간 예정인 저서 ‘그 일이 일어난 방 : 백악관 회고록’에서 이같이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볼턴 전 보좌관은 2018년 4월12일 시리아 화학무기 공격 사태의 소용돌이 와중 정 실장을 백악관 국가안보 사무실에서 만났다고 회상했다.
“2018년 3월 집무실에서 정 실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만나자는 김 위원장의 초청장을 건넸고 트럼프 대통령은 순간적인 충동으로 이를 수용했다”고 한 볼턴 전 보좌관은 “역설적으로 정 실장은 나중에 김 위원장에게 먼저 그런 초대를 하라고 제안한 것은 자신이었다고 거의 시인했다”고 전했다.
“이 모든 외교적 판당고(스페인의 열정적인 춤 이름)는 한국의 창조물이었다”며 “김정은이나 우리 쪽의 진지한 전략보다는 한국의 통일 어젠다와 보다 관련이 있었던 것”이라고 볼턴 전 보좌관은 “내 관점에서 보면 우리의 북한 비핵화 조건에 대한 한국의 이해는 근본적인 미국의 국익과는 하등 관계가 없는 것이었다”고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그것은 내 관점에서 보면 실질적인 내용이 아닌 위험한 연출이었다”고 비판했다. 정 실장은 특사 자격으로 평양에 다녀온 직후인 2018년 3월 8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뒤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가능한 조기에 만나고 싶다는 뜻을 표명했다”고 발표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나는 정 실장에게 다가오는 4.27남북 정상회담 때 비핵화 논의를 피할 것을 촉구했다”며 “평양이 서울과 일본, 미국 사이의 틈을 벌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고 했다. 그는 한미일간 균열 심화가 북한이 선호하는 외교적 전략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종전선언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우리의 논의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는 한국전에 대한 종전선언이었다”고 한 볼턴 전 보좌관은 “처음 종전선언이 북한의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는데 후에 이것이 자신의 통일 어젠다를 뒷받침하기 위한 문 대통령의 아이디어라고 의심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을만한 또 하나의 이유였다. 실질적으로 종전 아이디어는 그것이 좋게 들린다는 점을 빼고는 채택할 이유가 없었다”며 “나는 문 대통령이 이러한 나쁜 아이디어들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권유하는 데 대해 우려했지만 결국 그것을 멈출 수가 없었다”고 했다.
그는 570페이지에 달한 전체 회고록에서 문 대통령은 ‘조현병 환자 같은’이라고 폄훼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그는 지난해 2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문 대통령의 비핵화 문제 해결 노력을 이같은 단어로 폄훼했다.
볼턴은 하노이 회담 결렬 뒤 정 실장과 회동 내용을 소개하며 문 대통령의 대북 비핵화 접근이 ‘조현병 환자’ 같다고 주장했다. 하노이 회담 당시 북한은 영변 핵시설 폐기를 제안해 미국과 상충된 입장을 보였다. 한국은 의미 있는 변화라고 판단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문 대통령이 중국의 비핵화 해법인 ‘수평적이고 동시적’이라는 원칙을 지지하고 있는 게 이율배반적이라고 평가다.
볼턴은 회고록에서 중국의 ‘수평적이고 동시적’ 접근방식이 북한이 요구하는 ‘주고받기’식 협상전략과 같은 소리로 들린다며 두 개의 서로 다른 상황을 동시에 지지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문 대통령을 ‘조현병 환자 같은’이라는 수식어로 처리했다.
▶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