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폭염 대책 마련…무더위 극복에 21억원 투입

입력 2020-06-21 17:32

부산시는 21일 올여름 불볕더위에 대비한 종합대책을 내놨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여름 부산의 평균기온은 평년(23.9±0.3도)보다 0.5~1.5도 높고, 폭염 일수가 20~25일, 열대야 일수도 12~17일 정도로 평년과 작년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부산시는 최근 유관기관이 참석하는 ‘폭염 종합대책 보고회’를 개최하고 실행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폭염’이라는 상황 변화에 맞춰 대책을 수립했다.

우선 기존에 운영했던 무더위쉼터 1285곳 중 노인시설 및 복지회관 912곳은 운영을 중지하고 주민센터·보건소·금융기관 등 373곳만 운영된다. 이에 따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자나 소규모 쌈지공원 등 야외무더위쉼터를 지정·운영해 사회적 거리 두기와 폭염 대응을 함께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실내 무더위쉼터에는 손 소독제와 마스크, 폭염 안전키트 등을 비치하는 등 철저한 위생관리를 시행한다. 그늘막 사용 시에도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개인별 양산 쓰기 캠페인’을 추진하며 취약계층을 관리하는 재난 도우미 서비스도 비대면·비접촉 방식을 권장하고, 1회 방문 시 코로나19와 폭염 관련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대책 추진을 위해 주민참여예산과 재난 안전 특별교부세, 재난관리기금, 일반회계 추경 예산 등 총 21억원의 재원을 투입한다.

올해는 야외무더위쉼터 운영, 선별진료소 냉방 용품 지원, 실내 무더위쉼터 방역물품 지원 등을 위한 위생·방역 물품 지원 예산으로 6억2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기상청의 폭염 특보 발표기준이 변경된다. 애초 특보 발표기준은 ‘일 최고기온’이었으나 앞으로는 기온과 습도를 함께 고려한 ‘일 최고 체감온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폭염 특보 일수는 기존 대비 약 10일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온열 질환 사망자 감지율이 17%가량 증가해 사망자 수도 줄어들 전망이다.

온열질환자 감시체계도 개선된다. 올해부터 질병관리본부의 온열 질환 감시체계와 더불어 소방재난본부의 온열질환자 긴급이송현황, 지자체 자체 조사 결과를 함께 집계한다. 이를 통해 기존 온열 질환 감시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신속한 현지 조사와 재난지원금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폭염 대책에 4차산업 기반 기술도 도입한다. 시는 올해 논밭 온열질환자 감시를 위해 드론을 도입한다. 밭 온열질환자가 빈번히 발생하는 강서구와 기장군에 드론을 시범 도입해 육안 확인이 어려운 대규모 비닐하우스 단지 사이 작업자를 예찰하고, 폭염 안전수칙을 홍보할 방침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