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윤석열 검찰총장을 향한 여권의 비판 수위가 높아지자 “이럴 거면 검찰총장이 왜 필요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 지사는 2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이럴 거면 검찰총장이 왜 필요하냐. 법무부 장관이 그냥 ‘법무총장’하면 된다”며 여당을 비판했다. 이어 “설훈 의원을 비롯한 여권 인사들이 입을 맞춘 듯 일제히 윤 총장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에게 묻는다. 대통령의 침묵은 시나리오 묵인인가. 아니면 지시인가”라고 질문했다.
원 지사는 “살아 있는 권력을 엄정하게 수사하라”는 문 대통령의 과거 발언을 언급하며 “그 말이 빈말이었다는 걸 솔직하게 고백하고, 당당하게 윤 총장을 해임하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내 편이 아니면 모두 적이라는 잔인한 공격성으로 국가의 공공성을 유린하고 있다. 내 편은 진리라는 권력의 오만이 친문 무죄, 반문 유죄의 공포로 몰아가고 있다”고 적었다.
원 지사는 ▲2012년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를 지지한 안철수 ▲2016년 민주당 혼란을 수습한 김종인 당시 비상대책위원장 ▲2019년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통과에 협력한 손학규 전 민생당 대표와 심상정 전 정의당 대표를 거론하며 “모두 잔인하게 토사구팽했다. (민주당이) 쓰고나서 이용가치가 없어지면 가차 없이 버린 건 윤석열이 처음은 아니다”고도 했다.
원 지사는 현 정권을 ‘군사정권’에 빗대기도 했다. 그는 “어용언론·어용시민단체·어용지식인과 지지자들을 총동원해 정치적 반대자들을 공격하는 행태는 군사정권과 닮았다. 이젠 검찰마저 어용으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과 민주당은 거울을 보라. 독재와 싸우다가 독재라는 괴물이 되어버린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원 지사는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윤 총장 거취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 윤 총장을 신임하든지 해임하든지 결정하라”며 “대통령의 책임을 더는 회피하지 말라”고 글을 맺었다.
김웅 미래통합당 의원도 지난 20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여권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김 의원은 윤 총장을 향한 여권 인사들의 비판을 정리한 기사를 공유하며 “민주당의 야심찬 ‘일하는 국회’”라며 “열심히 일하는 임기제 공무원 몰아내는 게 일하는 국회인가 보다. 그럼 전 정부 때 블랙리스트도 일하는 정부였다”고 꼬집었다.
윤 총장을 향한 여권의 비판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 총장이 최근 ‘한명숙 불법정치자금 수수사건’ 수사 과정에서 검찰의 위증교사가 있었다는 의혹에 대한 조사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 배당한 사실을 두고 “대검의 감찰무마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윤 총장과 추 장관이 대립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법무부와 검찰의 충돌이 아니라 대검이 법률을 위반하고 있고, 법무부 장관의 정당한 지시에 불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퇴 압박까지 나왔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19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총장은 임기 보장과 상관없이 갈등이 일어나면 물러나는 것이 상책”이라며 “적어도 책임 있는 자세를 갖춘 사람이라면, 나라면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