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북미 비핵화 외교를 혹평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6월 싱가포르 첫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낚였다’(hooked)고 표현했다. 비핵화 노력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고 회담을 단순한 홍보행사 쯤으로 치부했다고도 했다. 미국의 전략이 하나도 반영되지 못했다는 불만이다.
볼턴 전 보좌관이 오는 23일 출간하는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난으로 가득하다. 18일(현지시간) 그 발췌본 일부가 인용돼 보도되고 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북한에 대해 선제 타격론을 주창한 ‘매파’로 통한다.
볼턴 전 보좌관은 북미 외교를 스페인 춤인 ‘판당고(fandango)’에 비유했다. 김정은이나 우리 쪽에 대한 진지한 전략은 없었고 한국의 통일 어젠다에 더 많이 관련됐다고 했다. 특히 볼턴은 트럼프 대통령이 참모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북미 1차 정상회담을 갖는 데 필사적이었다고 표현했다.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낚았다고도 말했다.
특히 볼턴 전 보좌관은 김 위원장을 백악관에 초대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바람에 대해 ‘엄청난 규모의 잠재적 재앙’이라고도 지적했다. 개인적 관심이 국가적 관심보다 우선된 사례라고도 평했다. 그는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사령관인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자유로운 회담을 제공함으로써 그를 정당화하고 있었다”며 “김정은을 만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열의에 가슴이 아팠다”고 회고록에 썼다. 이어 “북한은 미국으로부터 원한 것을 가졌고,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으로 원한 것을 가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 이익과 국가적 이익을 구분할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토령에게 핵실험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을 놓고는 ‘브루클린 다리를 판 것’이라고 표현했다. 과거 미국에서는 조지 파커라는 사기꾼이 브루클린 다리를 판매하는 사기를 친 적이 있다. 이에 빗댄 것이다. 볼턴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상 불한 탄도미사일 발사가 분명히 금지돼 있음에도 마치 북한이 핵 실험만 하지 않으면 된다는 식으로 구도가 설정돼 버렸다는 점을 지적했다.
볼턴은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얻어내는 데 성공을 거뒀다는 신념을 절대 흔들 수가 없었다”며 김 위원장에게 넘어간 것을 이해하지 못한 트럼프 대통령을 어리석어 보인다고도 했다. 이어 북미정상회담의 여파와 관련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완전히 떠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고 적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