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DMZ 초소에 병사 투입…국방부 “예의 주시 중”

입력 2020-06-18 21:22
17일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임진강 너머에 북한군 초소가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군이 비무장지대(DMZ) 일대에 비어 있던 일부 민경대 초소에 경계병력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군은 전날 오후부터 DMZ 북측지역 일대에 비어 있던 민경초소 여러 곳에 경계병으로 추정되는 군인을 배치했다.

정전협정은 DMZ에 군인의 출입을 금지한다. 대신 출입이 허가된 일부를 민정경찰로 부르고 완장을 차도록 했다. 유엔사와 한국군은 DMZ 내의 감시초소를 GP로 부른다. 그러나 북한은 이런 군인을 민경대, 감시초소는 민경초소라고 부른다.

GP와 민경초소는 같은 개념이며 한국군은 80여 개, 북한군은 150여 개의 GP를 각각 설치 및 운용한다. 북한군이 설치한 민경초소에는 경계병이 상주하지 않은 곳이 많았다. 상주하지 않는 민경초소는 일반 GP와 달리 규모가 작다.

17일 인천시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북한군 초소가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로선 북한이 그간 비워 뒀던 일부 민경초소에 경계병력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으로, 소수의 병사가 일부 초소에서 연장을 들고 이동하는 모습도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경두 국방부장관은 이날 오후 비공개로 열린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에서 “한미는 감시·정찰을 통해 북한의 주요사항을 24시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경두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이해찬 대표, 김태년 원내대표. 연합뉴스

군 당국은 북한군 총참모부가 전날 예고한 4대 조치 일환인지, 최전방지역에 하달된 1호 전투근무체계 방식에 따른 것인지를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북남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에서 철수하였던 민경초소들을 다시 진출·전개하여 전선 경계 근무를 철통같이 강화할 것”이라며 “전반적 전선에서 전선경계근무 급수를 1호 전투근무체계로 격상시킬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1호 전투근무체계는 최고 수준의 전투준비태세로, 화기에 실탄과 탄약을 장착하고 완전 군장을 꾸린 후 진지에 투입되는 근무 단계를 의미한다. 현재 최전방 북한군 부대는 철모를 쓰고 개인화기에 착검한 상태로 근무 중이다.

국방부는 이에 대해 전날 전동진 합참 작전부장(육군 소장)이 읽은 입장문을 통해 “실제 행동에 옮겨질 경우 북측은 반드시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