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 대신 해드립니다’…부산시, 케어지원단 출범

입력 2020-06-18 15:07 수정 2020-06-18 15:13

공동주택관리 민원과 분쟁이 해마다 늘면서 전문적인 관리체계 확립과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공동주택관리는 입주자의 사적 영역이라는 이유로 입주자대표회나 입주자 단체의 위탁을 받은 업체 등을 통해 자율 운영하다 보니, 투명성과 감시시스템 부족으로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부산시는 공동주택 관리비 부정·비리를 근절하고 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시는 부산공인회계사회·부산변호사회·대한주택관리사협회 부산시회 등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 케어지원단을 구성하고 운영에 들어간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날 오전 부산시청에서 배영호 부산공인회계사회장과 이영갑 부산변호사회장, 김홍환 대한주택관리사협회 부산시회장, 최대경 부산시 도시계획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 케어지원단’을 출범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케어지원단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회계사, 변호사, 주택관리사 등 전문가들로 꾸린다. 이들은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을 위해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이날 업무협약에 이어 다음 달부터 남구 LG메트로시티 금정구 래미안 장전 해운대구 좌동 SK VIEW 해운대구 삼호가든아파트 등 4개 단지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사업 대상지 아파트 단지는 지난 4월부터 한 달간 구·군의 추천을 받아 선정했다.

부산시는 이번 케어지원단이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 방법을 비롯해 관리비 누수 예방법, 부정·비리 유형, 비리 적발 사례 등 입주민들이 궁금해하는 지식과 노하우를 전파함으로써 공동주택관리 민원과 분쟁 해소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경남도도 다음 달부터 ‘공동주택관리 컨설팅’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경상남도 공동주택 컨설팅반은 주택관리사, 공인회계사, 건축 특급기술자 3개 분야 외부 전문가 9명으로 구성했다. 이들은 관리행정 회계업무 시설행정 등 총 3개 분야 23개 항목에 대한 현장 컨설팅을 진행한다. 경남도는 이번 컨설팅을 적발 위주의 감사가 아닌 계도·안내 중심의 컨설팅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