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지난해 이어 올해 지역 특화 에너지산업 산·학·연 클러스터인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정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서울과 강원을 제외한 8개 시·도는 저마다 장점을 내세워 물밑에서 유치 경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충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7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1~2곳을 추가로 지정할 방침이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는 지역별 특화된 에너지산업과 에너지 연관 산업의 기업·기관·연구소 등을 한 곳에 모은 클러스터다. 지난해 11월 전북(태양광, 풍력)과 광주·전남(스마트그리드, 에너지 효율향상)이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최초 지정됐다.
도는 진천군 덕산읍과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 조성된 충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반경 20㎞에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에 태양광, 이차전지, 반도체, 전기전자부품, 수송기계소재부품 등 지능형 첨단기업을 집적화한다는 구상이다. 혁신도시에 에너지 관련 기업과 연구개발(R&D) 인프라가 집약된 지역적 특성을 살려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도는 에너지산업의 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태양광과 에너지 효율, 스마트그리드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스마트그리드는 전기 공급자와 생산자들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 보다 효과적으로 전기 공급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충북혁신도시가 에너지산업융합단지로 지정되면 오는 2030년까지 1조3032억원의 생산 파급과 1만448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에너지 융복합단지로 지정된 지역에는 에너지 관련 기반시설 등 인프라가 구축되며 전문연구기관 지정, 사업화 촉진, 전문인력 양성 등도 지원받게 된다. 또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내 투자기업에 대해 지방세 감면, 정부 연구·개발(R&D) 참여시 가점, 지역투자 보조금 우대, 공공기관 우선구매 등의 혜택을 적용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단지 지정을 통해 기존 인프라와 새로운 기업 유치로 에너지산업을 육성할 것”이라며 “충북이 친환경 에너지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