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난이도와 출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6월 모의평가가 18일 실시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날 오전 8시40분부터 전국 2061개 고등학교와 428개 지정학원에서 일제히 수능 모의평가를 시행한다.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48만3000명이다. 그중 재학생이 41만7000명, 졸업생이 6만7000명이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6월 모의평가는 오는 12월 3일로 예정된 2021학년도 수능의 준비 시험으로, 고3과 재수생이 함께 시험을 치러 수험생들의 전국 석차와 수능 난이도를 책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시험 성격·출제 영역·문항 수 등이 수능과 동일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학교가 폐쇄됐거나 자가격리 중이어서 시험장 입실이 불가능한 수험생은 인터넷으로 모의평가를 치른다.
평가원은 당초 지난 15일까지였던 인터넷 시험 신청 기한을 이날 오전 8시까지 연장하고 대상도 전국으로 확대해 추가 신청을 받기로 했다. 인터넷 기반 시험 응시자들은 매 교시 오프라인 시험이 끝난 후 인터넷에서 시험을 볼 수 있다.
시험 당일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으로 인터넷 기반 시험에도 응시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 문제지, 가정답이 공개된 이후 ‘온라인 답안 제출 홈페이지’에 19일 오후 9시까지 답안을 제출하면 별도의 성적을 제공한다.
이번 모의평가는 서울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고1을 대상으로 한 전국연합학력평가와 동시에 시행된다. 이에 따라 학생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심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20분으로 연장되고, 점심시간 이후 시험 시작 시각은 20분씩 늦춰진다.
성적 통지표는 다음 달 9일까지 수험생에게 통보된다. 통지표에는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영역별 응시자 수가 표기된다. 인터넷 시험에 응시하거나 온라인 답안 제출을 이용한 수험생도 성적표를 받지만 일반 응시자 전체 성적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