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교수 183명, 민주화사업회 총장선출 급제동

입력 2020-06-17 18:45 수정 2020-06-21 17:46
인천대학교의 미래를 걱정하는 교수들의 모임 소속 류인모 교수 등 180여명이 17일 인천대 총장 후보 선임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의혹이 밝혀질때까지 촛불시위를 하겠다고 밝혀 인천대 총장 선출 사태가 중대고비를 맞고 있다.

이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학교 구성원의 총의를 외면하는 것이 바로 이사회의 독선”이라며 “총장후보 선임 과정을 명백히 밝힐 때까지 촛불을 들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총장후보 선거는 시작부터 끝까지 미숙한 일처리로 학교 안팎으로 파열음을 내고 있다”며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나서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하고, 급기야 촛불집회까지 개최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을 목격하고 우리 교수진들은 학교가 더 이상 혼란에 빠져서는 안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총장 선거가 교내 다수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진상 규명이 요구되는 문제의 책임은 전적으로 이사회의 독선적인 진행에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수들은 “3위 후보가 최종 선정됐으면 어떤 연유로 1위와 2위 후보를 제외하게 됐는지, 최소한의 설명을 해야 한다”면서 “이사회는 단지 “이사회 권한이며 절차상 하자”가 없다는 말만으로 학교 구성원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당초 확정된 일정을 변경하면서부터 야기됐다는 것이다.

5월 25일 정책발표 청취, 5월 26일 투표를 진행했으면 이렇게 혼란을 야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교수사회의 진단이다.



교수들은 같은 성명서에서 “130만 인천시민의 지지와 성원으로 국립대학법인이 된 인천대는 우리나라 민주화 역사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는데 큰 자부심을 갖고 있다”며 “이사회에서는 이미 교육부에 총장 선임 결과를 올린 것으로 알고 있다. 향후 불러올 파장을 전혀 생각지 않고 ‘밀어붙이면 된다’는 식의 강행이 바로 이사회의 민주주의 훼손이고 독선”이라고 강조했다.

교수들은 1위 후보인 최계운 후보쪽에서는 이번 총장 선거 결과에 대해 가처분신청을 한만큼 교육부에서는 최소한 이에 대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라도 임명 제청을 보류하고, 이번 사태의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수들은 마지막으로 “지금은 시민민주주의시대, 참여민주주의시대”라고 전제, “ 이사회가 ‘절차상 하자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밀어붙이기식으로 강행하는 것은 구시대의 적폐”라고 밝혔다.

학생들과 인천시민들의 희생으로 쌓아온 인천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이 학교 법학과의 한 교수는 “우리 대학교 교수 500여명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50여명이 급조한 모임으로 시작해 어느새 대표자 외 182명으로 늘어났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183명의 명단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500여명의 전체 교수 중에 몇 명으로 특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인천대학교대학민주화기념사업회(상임대표 심상준)는 16일 “법인이사회는 총장 선임 사유를 대학구성원이 납득할 수 있도록 명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인천대학교 대학민주화 정신을 훼손하는 어떠한 행위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기념사업회는 성명에서 “모교 인천대학교가 차기 총장 선출을 두고 심각한 갈등과 분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면서 “심지어 대학민주화의 정신마저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고 따졌다.

제3대 총장 선출 과정이 민주성과 투명성이 훼손됐다는 비판이 교수와 학생을 비롯한 학내 구성원 사이에서 팽배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 구성원(교수, 학생, 직원, 조교, 동문)은 차기 총장 선출을 위해 수개월에 걸친 논의와 민주적 절차를 통한 투표로 1, 2, 3순위를 정했는데 9명으로 구성된 법인이사회에서 3순위 후보를 최종 총장 후보로 선출했다는 것은 대학구성원의 투표 결과가 무색하게 된 상황이 발생했다는 해석이다.


구성원이 원하는 것과 다른 결론을 냈다면 해명이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아무런 설명이 없는 것이 이번 학내 사태가 몰고온 위기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인천대학교는 1979년 선인학원 소속 사립대학으로 출발한 이후 설립자의 비리와 비민주적 학사운영으로 대표적인 사학비리의 온상으로 여겨졌다. 무려 14년간의 학생을 비롯한 대학구성원의 눈부신 대학민주화운동의 결과로 1994년 시립화를 쟁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 2013년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로 새롭게 출발했다. 국립대로의 전환은 개교 이래 300만 인천시민과 대학 구성원의 염원으로 만들어 낸 빛나는 성과다.”라고 인천대 민주화 역사를 설명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모교가 비리사학으로 출발해서 시립대를 쟁취하고 국립대로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오로지 민주적인 대학 건설과 인천시민에게 양질의 공교육을 제공하고자 희생을 각오한 학생, 교수, 직원, 조교, 동문의 일치단결된 힘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전국 대학에서 유일하게 교수, 학생, 직원, 조교, 동문이 직접 투표로 참여해 총장을 선출하고 있는 자랑스러움을 훼손하는 것은 안된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