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예전보다 훨씬 증가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공간으로써 ‘집의 가치’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진 베이비부머에게도 집의 의미는 직장 생활 때와는 사뭇 다르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최근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것 같다”는 인식이 메르스가 유행했던 2015년에 비해 훨씬 커졌다.
먼저 코로나19 확산 이후 집의 ‘심리적’ 의미를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가 더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사람들의 집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더 많아지는 것 같다는 의견(84%)이 2015년 조사(56.9%) 때보다 훨씬 많아졌다. 집은 본래 불안감을 잊고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이었지만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사회 전반적으로 뚜렷해지고 있다. 모든 연령대에서 이러한 생각(20대 81.2%, 30대 80%, 40대 86.4%, 50대 88.4%)은 비슷했다. 또한 집은 가만히 있을 때가 가장 마음이 편하고(72.2%), 무엇을 해도 마음이 편하다(74.4%)는 의견에 대부분 공감했다.
실제 올해 들어 사람들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은 지난해보다 훨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절반 가량(49.9%)이 작년보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것 같다고 응답했다.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10명 중 4명(40.1%)이었으며, 오히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든 것 같다고 말하는 사람들(10%)은 매우 드물었다. 2015년의 경우 집에서 보내는 시간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그만큼 현재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특히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여성(56.4%)과 20대(68.4%), 최근 재택근무 경험자에게서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혼자서 보내는 시간은 물론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증가한 시간은 집에서 개인적으로 혼자 보내는 시간이었다. 작년보다 집에서 혼자 보내는 시간이 증가했다고 느끼는 사람들(41.6%)이 줄어들었다고 느끼는 사람들(17%)보다 훨씬 많았다.
사람들이 집에서 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TV시청(70.3%·중복응답)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66.8%)보다는 여성(73.8%), 그리고 중장년층(40대 77.6%, 50대 81.2%)이 TV시청을 더 많이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그 다음으로 인터넷 정보 검색(59.6%)과 청소와 빨래 등의 집안일(59%)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유튜브 시청(52.5%)과 누워 있기(49.6%), 영화감상(41%), 음악감상(38.8%), 커피 마시기(37.3%), 요리(34%), 게임(33.3%)도 집에서 많이 하는 활동으로 꼽혔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모습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공동체의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10명 중 8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지를 더 많이 깨닫게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일상생활의 측면에서는 무엇보다 이전부터 늘 해오던 개인들의 습관이 여러 방향으로 달라지게 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부분(83.1%) 공감하는 것으로 보였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