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은 목사
서울 마라나타 교회
본문 : 요한복음 15장 1~17절
“나는 참 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농부라”
예수님은 자신과 아버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포도나무와 농부로 비유하십니다.
포도나무와 농부는 아주 밀접한 관계입니다. 농부는 나무를 정성껏 돌봅니다.
물을 주고 벌레를 잡아주고 필요하면 약도 주면서 나무를 건강하고 잘 잘자라게 합니다.
농부가 그렇게 수고하는 이유는 포도열매 때문입니다.
많은 열매를 수확해서 이익을 남기는 게 농부의 큰 기쁨이며 목적이지요,
그러니 만약 열매를 맺지 못한다면 그 나무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포도를 거둘 수 없다면 농부의 모든 수고가 다 헛될 것입니다. 그러면 포도열매는 어디에서 나올까요?
포도는 나무의 가지에서 열립니다. 나무 위로 무성하게 뻗어 있는 수많은 나무 가지에서 열매가 나옵니다.
농부는 더 많은 열매를 얻으려고 가끔씩 가지치기를 합니다. 열매를 맺지 못하는 가지는 잘라버리고 열매를 잘 맺는 가지를 더욱 깨끗하게 다듬어 줍니다.
가지는 나무에 붙어 있을 때에만 열매를 위해서 기대하지만 잘라지면 죽은 가지가 됩니다.
잘라진 가지는 이제 더 이상 쓸모 없으니 뗄감으로 불에 던져 버립니다. 포도나무는 항상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으며 나무가지는 나무에 붙어 있을 때에만 소망이 있습니다.
가지가 스스로 열매를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지는 나무에 붙어 있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가지는 저절로 열매가 나옵니다. 굳건하게 흔들리지 않고 약해지지 않고 잘 붙어 있는게 가지에게는 최선입니다.
가지인가 나무인가 구별 없이 가지가 포도 나무의 일부가 되게 하는 것은 나무 때문입니다.
나무에서 떨어지는 날은 불 속에 던져져 불쏘시개로 끝나버립니다. 그러니 가지는 죽기살기로 나무에 붙어 있어야만 합니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예수님은 자신이 포도나무이며 우리가 바로 그 가지라고 비유하고 있습니다.
포도나무와 가지를 연상해 보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 아주 명확하게 답이 나옵니다.
예수님께 붙어 있기만 하면 됩니다. 무얼해서 되는 게 아니라 예수님께 붙어 있기만 하면 저절로 열매가 나옵니다.
열심히 죽기 살기로 예수님께 붙어 있는 것! 우리에게는 그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포도나무가 되느냐 불쏘시개가 되느냐의 문제이니까요. 가지는 열매가 없으면 불에 던져져서 죽음으로 종료가 됩니다.
그러면 열매는 무엇일까요? 사랑, 희락, 화평, 오래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 (갈 5:22)입니다.
우리의 인격이 성령으로 변화되면서 나오는 것들입니다. 농부가 열매를 바라는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 열매를 바라십니다.
이 열매는 성령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며 예수님께 붙어 있으면 저절로 나옵니다.
이 열매가 없으면 우리는 불에 던져집니다. 예수님은 이 열매를 위해서 우리를 선택하셨습니다. 열매는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것처럼 우리가 서로 사랑 하는 것으로 완성됩니다.
사랑하는 것은 어렵지만 예수님 안에 붙어 있으면 저절로 되어 지겠지요,
예수님은 이것을 위해서 주님의 사랑 안에 거하라고 하십니다.
주님의 사랑 안에 거하는 것, 그곳에 거하는 것이 어떤 느낌일까 묵상해 봅니다.
그곳은 나를 맡기기에 믿을 만한 안전하고 두려움 없이 거할 수 있는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