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6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가운데 참여연대가 정부의 강경 대응 자제를 촉구하는 입장을 내 논란이 되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날 성명에서 “남북 교류와 협력의 상징이었던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지경에 이른 것은 뼈아프고 참담한 일이 아닐 수 없다”며 “북한은 남북 간의 소통을 단절하고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참여연대는 “정부 역시 상황이 이렇게 악화되도록 합의를 이행하지 않고 방치한 책임을 무겁게 돌아봐야 한다”며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규모만 축소한 채 지속했고 군비 증강과 공격적 무기 도입을 추진해 왔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정부를 향해 “북한 군사도발 감행 시 강력 대응 등 군사적 태세를 앞세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정부는 어떤 일이 있어도 남북 합의를 지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며 “지금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판문점 선언을 비롯한 남북 합의들을 지켜내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했다.
민중당도 논평을 내고 “북에 대한 강경 대응이 아니라 한미 워킹그룹부터 박차고 나와 이제부터 진짜 우리민족끼리 대화할 준비가 됐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