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를 상징하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건립 후 21개월 만에 잿더미가 됐다. 300억원을 투자한 사무소는 북한의 폭파 예고 3일 만에 연기와 함께 사라졌다.
북한이 16일 폭파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2018년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을 통해 설치된 일종의 외교공관이다. 당시 남북은 당국 간 긴밀한 협의와 민간 협력 보장을 위해 사무소 설치를 추진했다.
사무소 건물은 2005년 개소했던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를 보수하는 방식으로 건립됐다. 보수 예산은 97억8000만원이었다.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를 처음 세울 때 공사비 80억원까지 합하면 모두 177억여원이 투입된 것이다. 운영비도 100억원 이상 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사무소 개소식은 2018년 9월14일 개성공단에서 열렸다. 지금은 외무상으로 승진한 리선권 당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은 개소식 당일 축사에서 “공동연락사무소 개소는 북과 남이 우리민족끼리의 자양분으로 거둬들인 알찬 열매”라며 “쌍방은 북남관계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빠른 시간 내에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해나갈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기능은 남북 당국 사이의 연락과 실무적 협의, 여러 분야의 대화와 접촉, 교류협력, 공동행사 등에 대한 지원사업, 민간단체들의 교류협력사업에 필요한 소개와 연락, 자문, 자료교환, 접촉지원 등으로 규정됐다. 또 육로를 통해 상대측 지역을 왕래하는 쌍방 인원들에 대한 편의 보장도 사무소의 역할이었다.
설치 당시 남북은 소장을 포함해 각각 15~20명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측은 통일부뿐만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등 유관부처 관계자를 30명까지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설립 후 연락사무소 소장회의가 매주 1회꼴로 열렸지만 지난해 2월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회의가 개최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돼 올 1월부터는 연락사무소 운영이 아예 중단된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