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 절반 정도만 하반기에 채용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영이 악화하자 기업이 채용에 부담을 느낀 결과다.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장려금 제도를 적극 활용해서라도 고용을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잡코리아가 16일 공개한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715명을 대상으로 한 하반기 채용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0.8%가 ‘신입·경력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작년과 비교하면 하반기 채용 의사를 밝힌 기업은 19.1% 포인트 감소했다.
중소기업 22.1%는 ‘하반기에 직원을 채용하지 않겠다’고 했다. 나머지 27.1%는 ‘아직 채용 여부와 시기 등을 정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하반기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원인으로는 ‘경기 침체로 기업 경영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4.6%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아 채용 여부를 정하지 못했다’는 중소기업도 38.1%에 달했다. 채용은커녕 감원을 계획중이라는 기업도 14.2%였다.
2월부터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상반기에도 채용을 진행하지 못한 중소기업이 많았다. 전체 응답자 35.2%가 ‘상반기에 계획보다 적게 채용했다’고 했고, ‘전혀 채용하지 못했다’는 기업도 30.2%로 파악됐다. 계획대로 채용 절차를 밟은 중소기업은 20%대에 그쳤다. 대다수는 하반기 취업 시장 전망을 비관적으로 봤다.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44.5%로 가장 많았다. ‘상반기보다 채용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36.8%로 뒤를 이었다.
고용노동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근로시간단축장려금 제도를 적극 활용해 고용을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워라밸일자리장려금을 확대 지원키로 했다. 지난 3월 1차 추가경정예산안을 508억원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워라밸일자리장려금은 기업이 주당 소정 근로시간을 15~35시간으로 단축할 경우 최대 1년(대체인력은 1년 2개월) 동안 간접노무비, 임금감소보전금, 대체인력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간접노무비는 노동자 1인당 월 20만원에서 40만원으로 늘었다. 임금감소 보전금은 주 15~25시간 미만 단축 시 4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주 25~35시간 이하 단축 시 24만원에서 40만원으로 각각 확대됐다.
월 통상임금이 250만원인 노동자가 주 35시간 근무할 경우 임금 31만5000원이 줄어드는데 장려금으로 이를 100% 보전받을 수 있다. 월 250만원을 받는 노동자가 주 30시간 일할 경우 임금 감소분 62만5000원 중 40만원(64.0%)을 받게 된다.
고용부 관계자는 “휴업에 이를 만큼 시장수요가 격감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소정 근로시간을 줄여서 워라밸일자리장려금을 지업받는 것이 기업에 유리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