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사진)이 최근 질병관리본부의 ‘질병관리청’ 승격을 두고 제기된 ‘복지부-질본’ 대결 구도에 대해 오해라고 소명했다.
박 장관은 1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민들이 연구기관(질본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을 왜 복지부로 옮기느냐고 하는데 오해가 있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보건연구원의 기능 중 3분의 2는 만성병, 보건산업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복지부가 더 많이 관여하고 있어 조직 개편을 논의할 때 상당히 딜레마였다”며 “나머지 급성병, 감염병과 관련한 부분은 장기적으로 오랜 시일이 필요한 연구를 하기에 질본은 단기적인 연구를 수행할 기관도 필요하다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장관 입장에서는 보건연구원이 질본 산하든, 질병청 산하든, 복지부 산하든 똑같다”며 “복지부의 인력을 내보내거나 영역을 확대하는 것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원의 복지부 이관 발표 일주일 만에 질본에 잔류하기로 번복한 것은 국민적 신뢰를 위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국민들의 지지를 못 받는 상태에서는 현재 코로나19 사태를 끌고 가는데 막대한 지장이 있을 수 있어 국민적 지지를 받는 방역체계를 유지하려면 국립보건연구원을 질병청에 두는 것에 대해 주저 없이 해도 좋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원격 의료에 대한 반대도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원격 의료를 왜 반대하는지 보니 큰 병원, 특히 서울의 상급종합병원으로 모든 진료가 몰릴 것이고 개원의들은 환자가 현저히 줄어서 어려워질 것이라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걸 알았다”며 “원격의료의 주된 수익자가 개원의가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연달아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에 대해서는 공권력을 적극 활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아동보호전문기관은 민간기관으로 아동학대 사건 조사 및 행정 조치에 한계가 있다. 박 장관은 “각 동별로 아동보호 전담 공무원을 채용해서 일선에 배치하면 공권력으로 아동학대에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며 “각 경찰서에는 아동학대전담 경찰관을 둬서 출동 요청이 있으면 반드시 협조하도록 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