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3개월 만에 시작되는 ‘광주형 일자리’…첫 성공신화 될까

입력 2020-06-15 17:22
정부, 5754억원 투자
22년부터 연 7만대 경형 SUV 생산
민노총 “저임금 고착화 우려” 불참


기업과 정부, 지방자치단체, 노동계가 힘을 합쳐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첫 사례로 꼽히는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정부 지원이 시작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대선 후보 시절 공약으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발표한 이후 3년 3개월 만이다.

정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주재한 상생형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를 통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제1호 상생형지역일자리로 선정했다. 상생형지역일자리는 기업이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지자체가 주거·보육 등의 복리후생을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지역의 일자리를 유지하는 모델이다. 정부는 기업의 산업경쟁력이 유지되도록 연구개발(R&D)이나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지원한다. 광주 외에도 경남 밀양, 대구, 경북 구미, 강원 횡성, 전북 군산, 부산 등 6개의 지역에서 상생형지역일자리 유치를 추진 중이다.


광주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광주시, 한국노총이 힘을 합쳐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법인을 만들었다. 현대차가 437억원을, 광주시가 483억원을 각각 투자해 전남 함평 빛그린산업단지에 자동차 공장을 짓고 있다. 정부는 2021년까지 총 5754억원을 투자해 2022년부터 연 7만대의 경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GGM이 직접 채용하는 인원은 908명이지만, 1~4차 협력업체의 채용까지 고려한 간접고용 효과는 1만2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그러나 민주노총 등 노동계 일각에서는 광주형 일자리가 자동차 업계 저임금 기조를 고착화할 수 있다며 반발,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불참했다. GGM이 생산하는 경형 SUV가 시장 수요가 적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온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GGM의 평균 초임 연봉은 3500만원으로 광주 지역 전체 청년 평균 연봉 2700만원을 웃돈다”고 반박했다. 경형 SUV와 관련해서도 “자동차 산업의 무게 중심이 경량화, 소형화로 가고 있기 때문에 시장성은 충분하다. 저렴한 가격과 안전성 등을 내세우면 차량 판매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