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메이지시대 산업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국인 강제징용 역사를 알리겠다는 약속을 해놓고 지키지 않은 일본에게 항의 입장을 전달했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15일 성명에서 “2015년 7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되던 당시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와 일본이 약속한 후속조치가 전혀 이행되지 않은데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고 말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2015년 7월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을 마련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일본이 등재를 신청한 근대산업시설 중 7곳에서 한국인 등이 강제 노역 피해를 입었으므로 이런 역사를 정확히 알리라는 취지였다. 이에 일본 측은 한국인이 산업시설에서 강제 노역을 했던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도쿄도 신주쿠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한 산업유산정보센터 전시 내용을 보면 당시 약속이 전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측은 정보센터에 강제 노역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의 증언과 자료를 전시했을 뿐 아니라 강제 노역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일본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후속조치로서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었다”며 “이 센터에는 그런 약속에 정면으로 배치되고 역사적 사실을 완전히 왜곡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로서 정보센터 설립을 약속했었으나 이번에 개관한 센터 전시 내용 어디에도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력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려와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일본이 한국과 국제사회에 약속한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권고한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다시 한 번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오후 도미타 고지 주한일본대사를 외교부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