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공휴일은 64일이다. 올해보다 사흘 적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내년도 공휴일과 절기 등 정보가 담긴 ‘2021년도 월력요항’을 발표했다.
내년 달력에 빨간색으로 표기되는 관공서 공휴일은 일요일 52일과 국경일, 설날 등 공휴일 15일을 더해 67일이여야한다. 하지만 현충일(6.6), 광복절(8.15), 개천절(10.3)이 일요일과 겹쳐 실제 공휴일 수는 64일로 올해(67일)보다 3일 적다.
주 5일제 근무자가 쉬는 휴일 수는 공휴일(64일)에 토요일 52일을 더해 116일이 되지만, 설 연휴 중 하루(2월 13일)와 한글날(10월 9일), 성탄절(12월 25일)이 토요일과 겹쳐 총 113일이 된다. 이 역시 올해보다 이틀 적다. 즉 내년에는 113일만 쉰다는 뜻이다.
가장 긴 연휴는 추석(9월 21일.화)이다. 토·일요일에 이어 5일간 쉴 수 있다. 설날(2월 12일.금) 연휴는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4일이다. 이밖에 1월 1일(금)과 3·1절(월)이 주말과 이어져 3일 연휴가 된다.
월력요항은 음력 날짜, 24절기, 관공서 공휴일 같은 달력 제작에 필요한 요소가 요약된 자료다. 우리나라 달력 제작의 기준이 된다. 내년도 월력요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www.msit.go.kr),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www.kasi.re.kr)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