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해외 진출 기업을 불러들이는 ‘리쇼어링’이 가속화되자 충남도가 국내 복귀 기업 유치에 나섰다.
충남도는 국내 복귀 기업에 대규모 보조금을 투입하는 ‘국내 복귀 기업 유치 추진 계획’을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유치 대상은 전기장비와 통신장비, 자동차 부품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잠재력이 높은 IT기업 등이다.
유치 기업에게는 국비·지방비 보조금, 이전 인센티브 등 투자 규모에 따라 수백억원까지 지원될 전망이다.
만약 1500억원을 투자해 230억원 규모의 토지를 구입, 공장을 짓고 500여명을 신규 고용하면 국비 설비보조금으로 투자금의 14%인 21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여기에 입지보조금은 토지매입가액의 40%인 92억원, 고용보조금은 5%인 75억원, 본사 이전 인센티브는 5%인 75억원을 지방비로 지원한다. 시·군비는 대규모 투자 특별 지원으로 10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모두 합하면 전체 지원 규모는 무려 552억원에 달한다.
지원 대상은 2년 이상 해외 사업장을 운영한 기업, 해외·국내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기업, 해외 사업장을 청산·양도하거나 생산량을 25% 이상 축소한 기업, 국내 복귀 시 해외 사업장과 동일한 업종을 운영하는 기업 등이다.
도는 현재 해외 공장을 운영하는 도내 기업 100여 곳을 파악, 운영 현황과 리쇼어링 가능성을 분석 중이다.
하반기에는 ‘충남도 공유재산 관리 조례’도 개정할 예정이다.
개정 조례에는 공장용지 수의계약 및 장기 임대(50년), 임대료 산정 및 감면, 석문국가산업단지 임대부지 우선 입주 등 대부료·사용료 감면 규정이 담길 전망이다.
또 법인·소득세 감면 혜택 산정 시점을 ‘국내 복귀 시점’에서 ‘기업 이익이 발생하는 시점’으로 변경한다. 국가나 지자체 보증으로 대출이 가능하도록 정부에 제도 개선도 건의할 방침이다.
도는 복귀 의향이 있는 기업의 현지 법인 청산을 지원하기 위해 고문 변호사, 관련 분야 은퇴자 등을 고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까지 겹치며 국내·외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국내 복귀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가 유치한 국내 복귀 기업은 플라스틱 표면 가공·수출 업체인 케이에프엠, 방위사업체인 세진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및 인버터 제조업체인 삼일엘텍,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체인 동양케미칼 등 4곳이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