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부제 해제와 예산 협의 시점
동간 이동통로 차단까지 겹쳐 주차난 극심
정부의 살림과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기획재정부가 요즘 ‘최악의 주차난’을 겪고 있다. 평일 낮시간 이중·삼중주차는 기본이고 주차할 자리가 마땅치 않아 돌아 나오는 차량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낮 최고기온이 30도가 넘는 불볕더위 속에서 주차난이 계속되면서 기재부를 방문하는 각계에서 볼멘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청사관리본부는 세종청사 15개 동(棟) 전역에서 주차선 외 주차 통제를 시작했다. 그동안 정식 주차 공간은 아니지만, 공무원과 방문객 등이 관례적으로 주차해왔던 출입구 인근 공간들도 돌 등을 이용해 막아버렸다. 최근 기재부를 찾은 한 중앙부처 공무원은 15일 “주차 가능한 공간이 줄어서 그런지 주차장 주변 이중·삼중주차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청사관리본부 고위 관계자는 “청사에 불이 날 경우 소방차가 진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차선 외 구역 주차에 대해 통제가 불가피하다”며 “원래 상반기에 실시하려던 것을 코로나19 때문에 미룬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시점이다. 여전히 코로나19로 인한 공공기관 차량 5부제 해제로 공무원의 차량 이용도 늘어난 데다 내년도 예산안 편성을 앞두고 각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에서 예산 협의 차원에서 기재부를 방문하는 발걸음이 부쩍 늘었다. 가뜩이나 코로나19 확산 예방 차원에서 정부 청사 내부에서도 동간 이동통로가 차단돼 세종에 있는 다른 부처 직원들도 대부분 기재부를 가기 위해 차를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차 통제가 이뤄지다 보니 자연히 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청사관리본부 관계자는 “차량 5부제 재개 전에는 이중주차는 어쩔 수 없다고 본다. 청사 안에 주차공간을 추가 확보하는 작업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의 주차난은 세종 관가에서는 이미 만성적 문제다. 기재부에 따르면 세종청사에 근무하는 기재부 직원은 휴직자와 외부 파견자를 제외하면 총 1004명이다. 그러나 기재부가 있는 세종청사 4동에 주차 가능한 차량은 지상 138대, 지하 53대를 합쳐 총 191대뿐이다. 다른 부처(기관) 공무원과 민원인, 언론인 등 방문객이 많은 기재부의 특성을 고려하면 터무니없이 부족한 숫자다. 게다가 주차장 대용으로 써왔던 건너편 공터도 내년 말에 완공되는 복합편의시설 공사가 진행되면서 3분의 1로 줄었다.
청사관리본부는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오는 8월부터 부처 공무원은 외부 주차장을 이용하고 교통약자와 민원인, 언론인을 청사 내부에 주차하도록 하는 주차환경개선계획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때마침 해양수산부·농림축산식품부가 있는 세종청사 5동과 국토교통부가 있는 6동 건너편에 수백 대의 주차공간을 갖춘 주차동이 최근 문을 열었다. 그러나 주차동과 다소 거리가 먼 부처 직원들이 이런 지침을 잘 수용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또 세종청사 어디에도 주차동에 대한 안내 표식이 없어 이용이 저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