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4일 새벽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긴급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전날 오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대적 보복 계획’을 공언한 지 3시간여 만에 회의가 열린 것이다. 휴일 새벽, NSC 상임위 화상 개최는 최근 남북 상황의 엄중함과 긴박함을 드러낸다는 평가다.
강민석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은 이날 문자메시지를 통해 “14일 새벽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NSC 상임위원회 긴급 화상회의를 개최하고, 현 한반도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고 공지했다.
회의에는 정 안보실장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유근 안보실 1차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 박한기 합참의장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는 ‘상황 점검’과 ‘대책 논의’ 외에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북한의 의도 파악에 논의가 집중됐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일보 통화에서 “자정 무렵, 2시간 정도 회의가 열렸다”며 “그 시간에 회의가 열렸다는 점을 고려해 달라”고 했다. 그만큼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것이다.
NSC는 지난 11일에도 정례 상임위를 열고, 북한이 반발하는 대북 전단에 대한 강력 단속 의지를 밝혔다. 그것도 김유근 1차장이 직접 공개 브리핑을 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북한의 반발은 계속됐고, 13일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여동생 김 제1부부장이 직접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철거와 무력도발 가능성을 시사했다. 청와대가 다시 휴일인 14일 새벽, 사흘 만에 다시 화상으로 NSC를 개최하고 이를 언론에 공개한 것은 그만큼 한반도 상황을 엄중하게 주시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김 부부장이 ‘보복’ ‘연속적 행동’ 엄포를 놓았지만, 이번 NSC 상임위 긴급 화상회의에서도 북한에 대한 유감 표명이나 우려는 없었다. 북한이 최근 ‘말 폭탄’을 이어가고 있지만, 아직 단거리 발사체 발사 등 실제 행동이 없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그동안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땐 ‘강한 우려’ ‘중단 촉구’ ‘한반도 평화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표현을 써왔다. 특히 지난 3월 2일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하자 청와대는 즉각 “강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중단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튿날인 3월 3일 김 제1부부장은 “청와대의 저능한 사고방식에 경악을 표한다”는 담화를 통해 청와대의 ‘유감 표명’을 맹비난한 바 있다. 청와대는 이후엔 북한에 맞대응을 자제하면서 최대한 로키(절제된 대응)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