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산업지형이 확 바뀐다. 산단의 기능·역할을 대대적으로 재정립하고 투자유치를 전담할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이 신설된다.
광주시는 “첨단과학산단을 거점으로 삼아 금형업 중심의 하남산단과 친환경차 생산기지가 될 빛그린산단을 연계하고 제조데이터센터·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산단 대개조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첨단과학산단은 자동차 전장부품 생산기지로 특화한다. 하남산단은 ‘1호 광주형 일자리’를 전제로 빛그린산단에 신축 중인 광주글로벌모터스 완성차 공장에 차체·섀시 등 주요 부품을 공급하는 ‘광주형 자동차산업 협력벨트’로 집중 조성한다. 첨단산단은 제조데이터센터와 스마트공장을 축으로 하는 스마트산단으로 육성한다. 시는 산단 대개조를 통해 3년간 1만 명의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제조업 비중을 24.9%에서 26.6%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제조업 부가가치액은 1조3000억원 늘리고 369개 기업유치도 추진한다.
시는 이를 위해 스마트 혁신, 스마트 환경, 스마트 인재 분야로 나눠 앞으로 3년간 국비 2337억원, 시비 1615억원, 민자 3704억원 등 7656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입한다고 밝혔다. 시와 광주테크노파크,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전남본부는 일자리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가 추진한 산단 대개조 공모에서 일자리창출 효과 등에 높은 평가를 받아 지난 달 최종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산단 대개조는 공모에서 선정된 광역지자체가 수립한 ‘산단 혁신계획’에 따라 중앙정부가 3년간 부처예산을 집중 투입해 지역의 혁신거점을 만드는 사업이다.
내년 1월 광주에서 문을 여는 광주경제자유구역청도 지역 산단 지도를 바꾸는 구심점 역할을 맡는다. 투자유치 전문조직인 경제자유구역청은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산업별 맞춤형 조직으로 개청한다. 경제자유구역에는 노동·경영 규제가 완화되고 지방세 등의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3일 중앙부처 협의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를 거쳐 빛그린산단 등 4개 지구 4.371㎢를 경제자유구역으로 공식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주력산업인 자동차 등 지역제조업 생산의 82%를 차지하는 각 산단을 특화시켜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자유구역청을 통해 국내·외 투자유치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