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고려대, 올해 고3 구제안 마련…입학전형 변경

입력 2020-06-12 17:35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대입 준비에 차질을 빚고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위해 서울대와 고려대가 2021학년도 대학 신입생 입학전형을 변경했다.

서울대는 고3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시모집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했다고 12일 밝혔다.

우선 전 모집단위 지원자(음악대학 성악·기악·국악과 제외)는 수능 4개 영역(국어·수학·영어·탐구) 중 ‘3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탐구영역 등급 충족 인정기준은 ‘2개 과목 모두 3등급 이내’로 결정됐다.

변경 이전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3개 영역 이상에서 2등급 이내였으며, 탐구영역 등급을 충족하려면 2개 과목 등급 합이 4등급 이내여야 했다.

단 음대 성악·기악·국악과를 지원할 경우에는 수능 2개 영역 이상에서 4등급 이내를 받아야 한다. 탐구영역 등급 충족 인정기준은 ‘2개 과목 모두 4등급 이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100%를 반영하는 정시모집 일반전형에서는 교과 외 영역 기준 적용을 폐지했다. 이로써 출결·봉사·교과이수기준 항목 미충족으로 인한 감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서울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일선 고교 활동 전반에 여러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며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평가는 학생이 처한 교육적 여건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에 학교 활동을 기계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학생들이 주어진 여건에서 보인 최선의 노력을 의미 있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도 이날 수험생과 일선 교육 현장의 입시 준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면접을 간소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1학년도 전기 특별전형부터 적용된다.

면접 방식은 비대면을 기본으로 하되, 가장 많은 학생을 뽑는 학교추천·일반전형(학업우수형)은 결격 사유가 없는 한 지원자를 통과시키기로 했다. 지원자는 사전에 공개된 면접 질문에 답변한 영상을 직접 녹화해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된다.

다른 대부분 전형은 별도로 마련된 온라인 화상 녹화장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고려대는 “서류평가의 경우 정성평가 기조를 올해도 유지할 것”이라며 “다만 고3 재학생들이 학교 활동이 제한된 상황에서 비교과 활동을 한 점을 충분히 고려해 평가하겠다”고 전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