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마지막 공격 목표가 뇌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메디컬익스프레스(MedicalXpress)에 따르면 미국 뉴로그로우 뇌 피트니스센터(NeuroGrow Brain Fitness Center)의 의료 실장이며 신경과학자인 마지드 포투히 박사가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코로나19가 뇌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현지시간) 전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코로나19의 1단계 공격은 코와 구강의 상피세포(epithelial cell)다. 이는 일시적인 후각과 미각 장애를 가져온다.
2단계에서는 바이러스 등에 감염됐을 때 생성하는 면역물질인 사이토카인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 현상이 발생해 정상 세포들의 DNA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폐가 손상되고, 혈관을 통해 모든 기관으로 퍼져나가며 혈전을 생성한다. 크고 작은 뇌졸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뇌의 검문소 역할을 하는 혈뇌장벽(BBB·blood-brain barrier)을 무너뜨린다. 이와 함께 혈액 속의 염증 표지들과 바이러스 입자들이 뇌를 침범해 경련, 착란, 혼수, 뇌병증을 일으킨다.
혈뇌장벽은 뇌의 혈관 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처럼 단단히 조여진 곳으로 뇌에 중요한 물질만 보내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한다.
포투히 박사는 “코로나19 환자는 초창기 대부분 뚜렷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서도 “일부 환자는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 전형적인 코로나19 초기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신경학적 증상이 먼저 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가 장기적으로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가 더 필요하다”며 “회복된 환자는 퇴원 전 뇌 자기공명영상법(MRI)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뇌의 활력을 회복하고 후유증을 차단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사, 스트레스 해소, 수면 개선 등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