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국회 원 구성을 위한 본회의 예정일을 하루 앞둔 11일에도 대치를 이어갔다. 여야가 평행선을 달리면서 21대 국회가 개원식 전부터 파행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예정대로 12일 본회의를 열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했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11일 오후 5시 서울 여의도의 한 카페에서 만나 1시간 가까이 회동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 원내대표는 12일 오후 2시 본회의가 개의될 예정이라고 당 의원들에게 공지했다. 통합당은 본회의 전 의원총회를 열어 당내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앞서 김 원내대표와 주 원내대표는 오전 박 의장 주재로 의장실에서 회동했다. 박 의장은 “21대 국회도 과거와 별다르지 않은 국회가 될 수 있겠다는 실망감이 있다”며 “서로 양보할 수 있는 안을 내서 오늘 내로 꼭 합의해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경우가 있어도 내일 본회의는 예정대로 진행된다”고 못박았다. 양당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의장이 직권으로 상임위원을 선임한다는 것이다.
주 원내대표는 “양보는 할 수 있는 사람이 해야 한다”며 “어느 상임위원장을 맡을지 알아야 당내 경선에서 위원장을 배정하고 거기에 따라 (상임위) 배정표가 나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원은 4년 동안의 국회 운영 룰을 정하는 것이니 합의에 의해 하라는 게 국회법 취지”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어제 상임위 위원 정수 관련 합의를 마쳤는데 상임위 명단 제출을 하지 못하겠다는 것은 시간을 끌어 협상 결과를 바꾸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주 원내대표는 “고의적으로 시간을 지연하는 게 아니다. 어느 상임위원장을 맡는지 모르고 어떻게 상임위원을 배정할지 좀 알려달라”고 반박했다. 분위기가 악화되자 박 의장이 제지에 나섰지만 김 원내대표는 “일단 명단을 제출하고 합의를 마치면 조정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 박 의장은 12일 오전까지 상임위원 명단을 제출하라고 양당에 요구했다.
민주당은 통합당이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자리를 넘길 경우 타 상임위는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통합당은 상임위원장 배분을 의석수에 따라 11(민주당)대 7(통합당)로 해야 하고, 법사위도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현우 이상헌 기자 bas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