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국내외 모든 반도체 사업장이 글로벌 환경인증회사인 UL(Underwriters Laboratory)로부터 최고 수준의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으로 인정받았다고 11일 밝혔다. UL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재활용 비율에 따라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100%)·골드(99~95%)·실버(94~90%)·인증(80% 이상) 등급을 각각 부여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미국 오스틴 사업장을 시작으로 국내 5개 사업장(기흥·화성·평택·온양·천안), 중국 2개 사업장(시안·쑤저우)까지 8개 사업장 전체에 대해 골드 등급을 얻었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지금까지 받은 등급 중 가장 높다. UL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다.
삼성전자 반도체 국내·외 사업장의 평균 자원 순환율은 98.1%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총량 60만t 중 59만t을 재활용하거나 열에너지로 회수한다. 59만t을 재활용하지 않고 태울 경우 이산화탄소 2만6356t이 발생하고, 이는 소나무 400만 그루가 연간 흡수해야 할 양이다.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이 근무하는 별도 건물 화성DSR타워는 국내 최초로 플래티넘 등급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물질을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는 등 자원 순환을 위해 노력했다. 지난해 9월에는 자원 순환을 선도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