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세계적인 첨단 소재 중심도시 도약에 시동을 걸었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사업비 3676억원을 투입해 첨단소재산업을 육성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 소재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일본 수출규제 조치 등 글로벌 밸류체인 붕괴에 따라 첨단소재산업 육성 중요성과 시급성을 인식하고 시는 부산섬유소재진흥센터,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해양융복합소재센터,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등 지역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우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탄성 및 점·접착 소재 산업의 자립화를 추진한다. ‘기능성 탄성 소재 개발’ ‘규제 대응형 점·접착 소재 개발’ 등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한국탄성소재연구소’(가칭)를 설립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탄성 소재 수요·공급산업 집적지인 경남·전남도와 함께 남해안 탄성 소재 벨트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조선·해양 첨단소재 개발도 추진한다.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선박용 경량·고강도 복합소재를 개발하고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 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관련 산업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해양레저 소재의 국산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지원에도 나선다. 염분·파도 등 극한 환경에 노출되는 해양시설물의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관련 기술개발 및 장비구축의 필요성을 정부에 건의해 해양 섬유산업 관련 기업의 제품 기획 단계부터 사업화까지 산업 전주기 지원거점 마련을 위한 신규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탄소복합소재 상용화 기반 조성 마련도 추진한다. 기존 열경화성 탄소섬유 복합재와 비교해 성능이 뛰어난 자동차용 경량 열경화성·열가소성 탄소복합소재를 개발한다. 또 바이오매스 함량 50% 이상의 친환경 섬유 소재 개발과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개발을 추진한다.
시는 또 조선·항공 산업에서 골칫거리인 내부 부식·결함을 잡아내는 센서 일체형 탄소복합소재를 개발해 안전진단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안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