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차원에서 전범 기업 자산압류가 예고된 가운데 보수 성향의 일본 언론에서 한국 정부가 책임을 떠넘긴다는 비난이 나왔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11일 ‘문 정권이 상호 불신을 키웠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일 관계가 나쁘다는 여론이 양국에서 확산한 것은 “문재인 정권의 책임이 크다”고 맹비난했다.
해당 사설은 “한국 대법원은 옛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일본 기업이 배상하도록 판결했지만 실현 가능한 해결책은 아직도 제시하지 않았다”며 “문 정권은 이 문제가 양국 관계에 주는 엄청난 타격을 고려해 타개책을 강구해야 한다. 옛 징용공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면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것이 이치”라고 주장했다.
요미우리는 또 “북한은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반복하고 중국은 군비 확장을 계속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안정을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일한이 협력하는 태세를 유지해야 한다”며 “양국의 대립을 서로의 협력이 없으면 안 되는 안전보장 등의 분야로 파급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논평했다.
지난 1일 강제징용 피해자 대리인단에 따르면 대구지법 포항지원은 피앤알(PNR) 지분에 대한 압류명령 결정 등의 공시송달을 결정했다. PNR은 포스코와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이 합작한 회사다.
당시 일본 교도통신은 한국 법원의 매각 명령이 8월 이후 본격 검토될 것이라며 한일 관계가 더욱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자발적 출연금으로 재원을 조성해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는 방안(1+1안)을 제안했으나 일본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