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지 않고는 도저히 견딜 수 없어요”[이슈&탐사]

입력 2020-06-11 10:35 수정 2020-06-11 12:53
눈이 보이지 않고 난청이 심한 조영찬(49)씨는 현재 나사렛대 대학원 신학과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조영찬씨 제공.

앞이 전혀 보이지 않고 난청이 심한 조영찬(49)씨는 종일 공부만 한다. 나사렛대 대학원 신학과 박사 과정에 있는 그는 얼마 전 전공 책 100권을 읽었다. 논문 작성 전 종합고사 1차 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다. 눈이 보이지 않으므로 점자정보단말기에 올라오는 점자를 손으로 만져 읽었다. 아내 김순호(57)씨는 “(남편이) 책을 읽으려면 점자단말기로 읽을 수 있도록 모두 파일 작업을 해야 해요. 그걸 한 줄씩 읽는다는 건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에요”라고 말했다.

영찬씨는 박사 과정 이전에 석사 학위를 2개나 땄다. 각각 신학, 기독교상담학 전공이었는데 5년이 걸렸다. 이후 3년간 박사 학위에 필요한 학점을 전부 취득했다. 그는 왜 이렇게 공부만 할까.
영찬씨가 자택에서 점자단말기로 공부하고 있는 모습. 조영찬씨 제공.

영찬씨는 취재팀과 메신저 인터뷰에서 “답답해서 공부한다”고 말했다. “타인과 대화하지 못하고 주변 상황을 알 수 없는 답답함이 쌓이다 보니 ‘알고 싶다’는 욕구가 농축되면서 공부하지 않고는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지경이 된 것 같습니다.”

영찬씨는 자신을 ‘우주인’에 비유한다.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현실이 어두컴컴하고 적막한 우주 같다는 이유다. 이런 그에게 공부는 ‘별빛’이다. “우주에는 영롱한 별빛도 있죠. 제 안에 있는 꿈이라는 별빛을 따라 우주여행을 한다고 생각하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슈&탐사2팀 권기석 김유나 권중혁 방극렬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