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45년 이후 대통령 중 네 번째로 낮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트럼프 대통령보다 지지율이 낮은 3명 중 2명은 재선에 실패했다.
미국의 선거전문매체 ‘538’이 각종 여론조사를 취합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취임 1238일째이자 11월 대선을 147일 남겨둔 10일(현지시간)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1.0%다.
그보다 지지율이 낮았던 경우는 해리 트루먼(39.6%), 지미 카터(38.5%), ‘아버지 부시’로 불리는 조지 H. W. 부시(35.7%) 전 대통령 등 3명뿐이다. 이 중 카터, 부시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했고 트루먼만 성공했다.
이들 3명의 대통령을 다음으로 지지율이 낮았던 대통령은 린든 존슨(46.0%), 버락 오바마(47.6%), ‘아들 부시’인 조지 W. 부시(47.7%) 전 대통령이었지만 모두 40% 후반대였다.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4.9%로 절반을 넘었는데, 이는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5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트루먼, 카터 전 대통령의 비지지 응답 비율은 각각 45.5%, 52.0%였다.
이에 따라 지지율에서 비지지율을 뺀 순지지율은 트럼프 대통령이 -13.9%로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20.6%)에 이어 두 번째이고, 카터 전 대통령(-13.5%)과 비슷했다. 트루먼 전 대통령은 -5.9%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내 줄곧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낮은 순지지율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4일째 4.2%의 순지지율을 보였지만 보름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한 번도 플러스로 올라서지 못했다. 반면 카터,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은 취임 초반 50%가 넘는 순지지율을 기록했다가 임기 후반으로 가면서 급하락했다.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한 번의 임기로 끝난 대통령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와 흑인 사망 시위에 대한 대응 비판론 속에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의 재선 실패는 임기 후반 경기침체에 이은 것으로, 당시 대선 경쟁자이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경제성과를 내겠다고 약속하는 선거운동으로 이득을 봤다”고 평가했다.
뉴스위크는 “트럼프 대통령도 2016년 대선 때 경기 부양 열망 위에서 선거운동을 벌였고 이번에도 강한 경제 지표를 희망했지만 코로나19 위기로 방해받아 두 자릿수 실업률을 안고 선거전에 뛰어든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