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수준이 높아서 코로나19 사망자가 적다”는 발언으로 비난을 받은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가 이번엔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일본은 강제력을 쓰지 않으니 한국과 같이 취급하지 말라”고 해 논란이 되고 있다.
아소 부총리는 지난 9일 중의원 재무 금융위원회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출 자제 등에 대해 일본은 강제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며 “한국과 같은 것으로 취급하지 말아달라. 한국은 엄하게 정해서 하고 있으니 ‘위반이다’라고 하면 바로 (벌금이) 얼마라는 얘기가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4일 논란이 된 ‘민도(民度· 국민의 생활 수준이나 문명 발달의 정도)’ 발언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자 갑자기 한국을 거론했다. 아소 부총리는 당시 참의원 재정금융위원회에서 일본의 코로나19 사망자가 미국이나 유럽 여러 국가보다 적은 데 대해 “너희들만 약을 가지고 있는 것이냐고 자주 전화가 걸려 온다. 그런 사람들의 질문에 ‘당신의 나라와 우리나라(일본)는 민도 수준이 다르다’고 말하면 다들 입을 다문다”고 말했다.
아소 부총리의 발언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국가·지역은 수준이 낮다’는 의미가 된다. 하라구치 가즈히로 국민민주당 국회 대책위원장은 이 발언에 대해 “각료는커녕 정치가의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진보 성향 도쿄 신문은 아소 부총리의 ‘망언’에 대해 “하나하나 셀 수 없다”고 비난했다.
아소 부총리는 올초 “2000년의 긴 세월에 걸쳐 하나의 언어, 하나의 민족, 하나의 왕조가 이어지고 있는 나라는 여기(일본) 밖에 없으니 좋은 나라”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일본 정부가 홋카이도 등지에서 오래전부터 먼저 정착해 살아온 아이누족을 ‘선주민족(先住民族)’으로 규정한 ‘아이누시책추진법’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발언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아소 부총리는 일제강점기에 대해 이야기하며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했다”는 망언을 해 공분을 사기도 했다. 최근엔 ‘성차별 발언을 하는 최악의 정치인’ 1위로 뽑혔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