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홍콩보안법 ‘반대 기수’ 자처…中 “간섭말라” 발끈

입력 2020-06-10 21:49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일 베이징에서 의료 분야 전문가와 학자들을 모은 가운데 좌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10일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발언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신화통신 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주요 7개국(G7)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관련 비판 성명을 주도하고 싶다고 밝히자 중국이 발끈했다. 일본은 지난달 28일 미국 등 4개국이 중국을 겨냥한 성명을 냈을 때는 불참하더니 기수를 자처한 모양새다.

10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의회에서 “G7은 글로벌 여론을 이끌 임무가 있으며 일본은 홍콩의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에 대한 성명 발표를 주도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28일 중국이 홍콩보안법 초안을 통과시키자 별도의 성명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지만, 미국·영국·호주·캐나다가 비판 공동 성명을 냈을 때는 불참했다.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문을 성사시키기 위해 중국을 자극하지 않았다는 해석이 나왔다.

중국은 아베 총리의 G7 성명 관련 발언에 즉각 반발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이미 일본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며 “(홍콩보안법은) 순전한 중국 내정에 속하며 어떤 나라도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일본을 향해 “관련 국가는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준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로이터 연합뉴스

화 대변인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홍콩보안법 지지를 표명한 영국계 HSBC 은행을 비판한 것과 관련해서도 “미국이 시키는 대로 중국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중국의 위협을 받아서 그런 것이라고 보는 것은 우스운 일”이라고 응수했다. 그는 “미국은 홍콩 관련 입법을 올바르게 보고 이간질과 선동을 멈추고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기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9일 피터 웡 HSBC 아시아태평양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의 홍콩보안법 추진 지지 청원에 서명한 것을 ‘충성서약 보여주기’로 규정짓고 강하게 비난한 바 있다. 당시 폼페이오 장관은 “자유 국가는 정치적 또는 기업적인 굽신거림이 아닌 진정한 우정 안에서의 거래와 상호 번영을 욕망한다”고 중국을 겨냥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