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무증상 감염 드물다→답 없다” 오락가락… K방역에게 물어봐

입력 2020-06-10 16:3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무증상 전파 가능성을 놓고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무증상 전파 가능성이 거의 없다던 세계보건기구(WHO)가 하루만에 “명확치 않다”고 말을 바꿨기 때문이다. 정부는 “전파력이 약할 뿐이지 무증상 상태에서도 감염될 수 있다”며 거리두기와 인구이동 자제를 요청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무증상 감염자가 다른 사람에게 코로나19를 옮기는 경우는 매우 적다”고 말한 마리아 판케르크호버 WHO 신종질병팀장이 다음 날인 9일 “전염은 대부분 유증상자에서 비롯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이 일부 있다”며 자신의 발언을 철회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9일 브리핑에서 “상대적으로 무증상 환자가 증상을 나타낸 환자보다 전염력이 낮다는 것이지 무증상이라고 전파력이 없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무증상 전파가 거의 없다는 WHO의 분석은 자칫 거리두기를 약화하고 인구이동을 심화하는 부작용을 낼 수 있어 논란이 됐다. WHO가 입장을 선회함으로써 일단 무증상 감염은 있는 것으로 정리됐다.

무증상 환자는 주로 젊은 층에 많다. 20~30대 환자를 대거 양산한 이태원 집단감염에서 확진자의 30% 이상이 무증상이었지만 7차 감염까지 이어졌다.

최근엔 연령대가 높은 집단에서도 무증상 감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방문판매업체 ‘리치웨이’에 갔다가 서울 구로구 중국동포교회 쉼터에서 집단감염을 일으킨 60대 남성도 무증상 상태에서 확진됐다. 지난 2일 기준 수도권 개척교회 소모임에서 발생한 24명의 확진자 중 17명(71%)이 무증상 감염자였다.

코로나19가 무증상 상태에서도 감염을 일으키는 만큼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을 유지하는 게 추가 전파를 막는 유일한 길이라고 방역당국은 강조한다. 방대본은 최근 의학 학술지 ‘란셋’을 인용해 사람 간 물리적 거리를 1m 유지할 경우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약 82% 감소하고, 감염 가능성이 매우 큰 의료 환경에서 마스크 착용 시 감염 위험을 85%까지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무증상 환자가 지역을 이동하며 ‘조용한 전파’를 일으키는 걸 막기 위해 올해 특별여행주간도 열흘 단축했다. 김강립 중앙재난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일상생활에 제약이 많아지면서 국민들이 답답하겠지만 수도권 감염 확산세를 조속히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