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가 5년간 48조6000억위안(약 8262조원)을 투자하는 중국판 뉴딜에 한국 기업이 많이 참여해달라고 10일 밝혔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제한됐던 중국 입국 항공편이 7월부터 배 이상 확대될 예정이라며 항공을 증편하는 첫 국가에 한국을 포함할 것이라고 전했다.
싱하이밍 대사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 초청 웹세미나에서 ‘중국 양회 이후 한중관계 전망’을 주제로 이같이 말했다. 중국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과 첨단기술 분야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프로젝트를 포함한 뉴딜에 올해 8조 위안(약 1360조원)을 집행한다고 했다. 향후 5년 동안 48조6000억 위안(8262조원) 규모의 투자를 쏟아부을 것이라 했다.
싱 대사는 “투자 방식과 주체, 시장개방성 등이 이전과 다른 경제 계획이 될 것”이라며 “한국 기업에 커다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싱 대사는 올해 중국이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하지 않은 이유를 민생 안정에 최우선을 두기 위해서라고 분석했다.
이어 싱 대사는 “일자리 안정, 소비 촉진, 시장 활성화, 안정적 성장을 위해 재정 적자 규모를 늘리고 특별국채를 발행해 재원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달 1일부터 시행 중인 기업인 입국 절차 간소화제도(패스트트랙)도 더욱 확대하겠다고 했다.
중소기업은 패스트트랙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질문에 싱하이밍 대사는 “항공편 감축은 코로나19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결과”라며 “여전히 코로나 확산을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다음달부터는 중국 입국 국제 항공이 배로 증가할 것라고도 했다.
시진핑 주석의 방한에 대해선 긍정적 답변을 내놨다. 싱 대사는 “양국 정부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양국이 실질적 교류와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면 자연스럽게 성사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