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을 끌어온 전주교도소 신축 이전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법무부와 전북 전주시는 다음 달부터 전주교도소 이전지에 대한 보상에 돌입하는 등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낸다.
10일 전주시에 따르면 법무부가 최근 전주교도소 신축 이전을 위한 기본·실시설계를 잇달아 마무리하고 7월부터 이전 부지(19만3800㎡)내 20여명의 거주민에 대한 보상 절차를 진행한다.
이어 2022년 1월 공사에 착수해 2023년 12월 준공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모두 1500억원이 투입된다. 이전 부지는 평화동 현 교도소의 동쪽으로 300m쯤 떨어진 작지마을 일원이다.
신축 교도소는 부지 19만3799㎡, 건축면적 3만180㎡(26동), 수용인원 1500명 규모로 건축된다.
현재 주민 이주단지 부지를 선정한 상태로 이주대상자 선정, 공동작업장 결정 대지조성사업계획 승인 기본 및 실시설계 등 이주단지 조성 등의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11월쯤 해당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보상과 조성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주민들의 이주 택지(가구당 500㎡)는 부지 조성 원가의 15%에 공급할 예정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보상 문제를 두고 아직 주민들과 일부 이견이 있지만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안)과 용역 결과 등을 토대로 주민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 이주대책을 추진하겠다”면서 “사업이 더 이상 지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교도소는 1972년 서노송동에서 시 외곽인 현 평화2동 부지에 둥지를 틀었다. 그러나 도시개발로 인해 시가지역으로 변모하면서 주민불편과 도시 확장 등 문제에 부딪혀 이전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전주시는 전주교도소 이전을 2002년 법무부에 처음 건의, 2차례 희망지역 공개공모를 통해 후보지를 찾았다. 하지만 주민들의 이전 반대와 신청지역의 자격요건 미 충족 등으로 사업은 번번이 무산됐다.
2014년 11월 전주시가 작지마을 부근을 추천하자, 법무부는 2차례 주민의견청취와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이듬해 3월 이 일대를 최종 확정했다.
2023년 완공되면 처음 이전 건의가 있었던 이후 21년만이고, 현재 터에 자리를 잡은 것부터 치면 51년만의 일이 된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