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10일 대구시 공무원 등 3928명이 긴급생계자금을 부정수급한 것과 관련해 “대구시는 환수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고,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하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이런 일이 발생해 매우 유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코로나19 긴급생계자금 부정수급자는 공무원 1810명, 사립학교 교원 1577명, 군인 297명, 시 산하 공사·공단 직원 95명, 출자·출연기관 직원 126명, 정부 산하 공공기관 직원 23명 등 모두 3928명이다. 이들은 약 25억여원을 부정수급했다.
앞서 대구시는 긴급생계자금 명목으로 정부가 준 재난지원금과 별도로 대구에 거주하는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가구원 수에 따라 50만~90만원씩을 지급했다. 해당 가구 58만6000여가구 중 이미 복지제도나 코로나19 특별지원을 받은 12만7000여가구를 제외한 45만9000여가구가 대상이었다. 또 공무원, 교사 등도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수급이 이뤄진 것이다.
정 총리는 수도권 집단감염 확산과 관련해 국민들의 협조를 재차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오늘부터 클럽·노래방 등 고위험 시설을 대상으로 전자출입명부 제도를 도입한다”며 “공공안전을 위해 가급적 많은 시설에서 활용하고 이용자들도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