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는 원구성 협상 시한을 하루 넘긴 9일 각자 억울한 입장을 토로하는 등 여론전에 집중했다.
‘법대로 원구성’을 주장한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막상 법정시한을 넘기게 되자 머쓱해진 눈치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비공개 원내대책회의에서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한다. 이번 총선에서 177석을 몰아준 민심을 봤을 때 과거 원 구성 협상과는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박성준 원내대변인을 통해 “지금 국회 의석 분포는 과반에 못 미치거나 과반을 겨우 넘는 상황이 아니라 안정적 과반 의석을 민심이 반영해 준 것”이라며 “지금 국회 상황을 좀 더 이해하고 접근하는 차원에서 취재해 달라”고 말했다. 또 21대 국회가 반드시 ‘일하는 국회’로 가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고 한다.
반면 반드시 법사위원장을 사수해야 하는 주호영 원내대표는 관례와 절차를 무시한 여당의 일방통행을 부각해 달라고 언론에 읍소했다. 주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원 구성 협상에서 민주당의 강요나 협박에 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여당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과거에는 국회법 정신과 합의에 따라 원구성이 됐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우리는 (언론을 제외한) 수단이 전혀 없기 때문에 언론인 여러분들의 협조를 부탁한다. 꼭 좀 도와달라”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여당이 상임위원장을 독식할 땐 오는 12일 본회의 개의에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주 원내대표는 박병석 국회의장에 대해서도 “전혀 중립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는 CBS 라디오에서 “(국회의장이) 처음부터 하는 말이 ‘법대로 하겠다’ ‘결단하겠다’였다. 그 말은 민주당 편을 들겠다는 말”이라고 했다.
한편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정수를 2명,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1명 늘리기로 했다. 또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외교통일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각각 1명씩 줄이기로 합의했다. 이 안은 10일 국회 상임위원회 정수조정특별위원회 전체회의와 본회의에서 의결될 전망이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