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통일부가…” 통일부는 “합의준수”만 되풀이

입력 2020-06-09 16:09

청와대는 9일 북한의 통신연락선 단절에 대해 “통일부 입장을 참고해달라”며 말을 아꼈다. 통일부는 “정부는 남북 합의를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대북 전단 단속 의지를 밝혔음에도 북한이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자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통일부 발표 내용을 참고해주기 바란다”며 “정부는 통일된 입장을 통일부를 통해서 말씀드린 바 있다”고 했다. 남북 정상 핫라인 단절 여부에 대해서도 “남북 정상 간 소통채널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했다. 청와대는 북한의 통신연락선 단절과 관련해 별도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도 개최하지 않았다. 대신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유관 정부 부처를 중심으로 북한의 의도를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가 공개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은 북한이 연일 격앙된 반응을 쏟아내는 상황에서 맞대응할 경우, 자칫 긴장 수위만 더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들어 북·미 대화 견인을 위한 남북 협력을 제안한 상황이고, 지난 3월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서를 주고받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도 대남 문제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통일부도 ‘남북 합의 준수’라는 원론적 입장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기 때문에 남북 간 합의에 따라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전후해 문 대통령이 현 상황을 반영한 대북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임성수 손재호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