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수소·미래자동차 산업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산업기반을 구축한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9일 오전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충남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와 ‘충남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통해 새로운 산업의 미래를 앞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충남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는 충남을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 기업 활동을 지원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위치는 천안과 공주, 당진, 홍성, 태안 일대 72.2㎢에 달한다.
도는 2022년 6월까지 228억원을 들여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 실증, 수소충전시스템 실증, 해안선 감시 및 도서지역 긴급 물품 배송 드론 비행 실증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앵커기업으로는 연료전지 분야 5개사, 수소충전소 5개사, 수소드론 8개사, 연구기관 7개소 등 총 24개사가 참여 중이다.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될 경우 수소충전소 80개소 건설, 수소드론 3750대 보급, 매출 1조4300억원 및 고용 6750명 창출 등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의 2차 분과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는 3차 분과위원회와 심의위원회, 국무총리 주재 특구위원회 심의 등을 남겨둔 상태다.
양 지사는 “수소산업은 관련 법규나 규제 등이 미비한 실정”이라며 “남은 심의에서 타 지자체와의 차별성, 특구 지정 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와 수소산업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겠다”고 말했다.
충남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는 천안에 위치한 국내 유일 자동차 부품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천안아산 KTX역세권 R&D집적지구, 풍세산업지구를 미래형 ICT 융복합 자동차산업에 특화된 연구개발특구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특화 분야는 디스플레이와 인포테인먼트, 2차전지,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같은 차세대 자동차 부품이다.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선정 결과는 특구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이나 8월쯤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양 지사는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며 자동차산업 역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며 “자동차 관련 산업이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구와 개발, 산업·기업 현장이 연결돼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남은 그동안 미래 자동차산업 육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강소특구 지정은 이를 완성하는 남은 퍼즐이 될 것이다. 철저히 준비해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