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적극적 진단검사 등 강력한 조처로 한국이 3800만명의 감염위험을 피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폭스뉴스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 연구진이 한국과 미국,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이란 등 6개국에서 봉쇄령 등 코로나19 확산 억제 정책의 효과를 분석해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8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총 1만1814명이다.
연구진은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대한 대규모 반 확산 정책들의 효과(The effect of large-scale anti-contagion policies on the COVID-19 pandemic)’라는 제목의 논문을 8일 게재했다.
연구진은 “억제 정책이 없었다면 코로나19 초기 전파는 하루 약 38%의 기하급수적 증가세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우리는 감염 억제 정책이 이 증가를 상당히 많이 늦췄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 6개국에서 자택 대피령이나 기업체·점포 폐쇄, 여행 금지 등 코로나19 억제 조치 전과 후를 나눠 조사한 결과 각국의 결과를 합산해 모두 6200만명의 감염을 피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지 않아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넘어가는 경우를 포함하면 수치는 약 5억3000만명으로 늘어났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이 3800만명, 미국이 6000만명, 중국이 2억8500만명, 프랑스가 4500만명, 이란이 5400만명, 이탈리아가 4900만명이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는 5184만여명으로, 10명 중 7명(73.3%)의 감염을 피한 것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진도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영국을 포함한 유럽 11개국에서 봉쇄령으로 310만명의 목숨을 구하고, 감염률을 평균 82% 낮췄다고 전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