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을 적으로 규정” 남북연락채널 폐기에 외신도 들썩

입력 2020-06-09 09:15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 사진)과 그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연합뉴스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남한의 대응을 문제 삼아 일방적으로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선을 차단한다는 소식을 외신도 긴급 속보를 타전했다.

AFP 통신은 9일 통신 연락선 차단을 알리는 조선중앙통신 기사를 전하면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의 발언에 주목했다.

AFP 통신은 “북한이 남한을 적으로 규정했다”면서 “남북은 1953년 정전협정 이후 법적으로 전쟁상태”라고 보도했다. 이어 “김 제1부부장이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된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도 위협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AFP통신은 남북군사합의가 지금까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지난해 2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노이 정상회담이 수포가 된 뒤 남북관계도 원활히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특히 이번 조치로 폐쇄될 개성연락사무소에 대해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탓에 이미 운영이 중단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도 “남북이 평화협정 없이 휴전에 합의한 상태”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북한의 조치가 남북 간 긴장을 완화하려는 노력에 중대한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블룸버그 통신은 “북한이 폐쇄를 선언한 개성연락사무소는 2018년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의 산물”이라며 “북한 당국이 탈북자들의 대북 전단 살포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위협했다”고 설명했다.

영국 BBC 방송도 북한의 통신 연락선 차단 결정을 촉발한 대북 전단 살포 현황을 소개했다. BBC는 “탈북자들이 북한 당국을 비판하는 내용의 대북 전단과 생필품을 대형 풍선을 통해 날려 보낸다”며 “북한 주민들은 관영 매체를 통해서만 뉴스를 접할 수 있고, 인터넷 접근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