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독미군 이어 해외주둔 미군 ‘연쇄 감축’ 배제 못해
나토 사무총장 “유럽도, 미국도 혼자 대처 못해”
한국 거론하며 “나토, 생각 같은 국가들과 협력해야”
미국 백악관은 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독일 주둔 감축 지시를 내렸다는 보도와 관련해 “지금 이 시점에서 발표할 것이 없다”고 밝혔다.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주독미군 감축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도 매커내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과 해외 주둔 미군(United States Military forces and our presence overseas)’의 최고 태세를 계속적으로 재평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매커내니 대변인은 독일주둔 미군의 감축 여부와 관련해 사실 관계를 부인하지 않고, 오히려 감축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주둔 미군을 재평가한다는 것은 한국을 포함한 다른 동맹국들에 주둔한 미군들도 평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독미군을 시작으로 도미노식으로 다른 지역의 미군을 빼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매커내니 대변인은 “우리는 강력한 동맹국들과 협력하는데 여전히 주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매커내니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감축)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상의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선 “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맡겨둘 것”이라며 “반복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발표할 것이 없다”고 되풀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독미군 9500명을 오는 9월까지 감축할 것을 미 국방부에 지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들이 지난 5일 보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충격파가 일었다.
주독미군 감축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과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마찰을 겪고 있는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이 미군 감축의 다음 차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독일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어떠한 공식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밝혀 미·독 갈등도 고조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사무총장은 이날 “향후 직면할 문제는 유럽도, 미국도 혼자서는 대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독미군 감축 강행과 관련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으면서도 미국과 나토 회원국들의 단합을 강조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날 온라인 연설을 통해 “나토 30개국 회원국들은 러시아와 중국의 도전에 맞서 글로벌 질서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더욱 단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나토는 생각이 비슷한 국가들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호주·뉴질랜드를 거론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특히 “2030년까지 향후 10년 동안 우리가 직면할 도전은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것보다 더욱 크다”면서 “유럽도, 미국도 혼자서는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주독미군 감축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선 답변을 거부했다. 다만 그는 “유럽 내 미군 주둔 문제와 관련해 미국 정부와 계속 협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