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숨진 채 발견된 손모(60‧여) 정의기억연대 산하 ‘평화의 우리집’ 소장 빈소가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8일 마련됐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포함한 정의연 관계자들은 연일 슬픔과 분노를 감추지 않았다. 고인의 시신을 부검한 경찰은 여러 차례 극단적인 시도를 하려 했던 정황을 확인했다.
빈소 분위기는 차분했다. 오전까지는 이나영 이사장과 한경희 사무총장 등 정의연 주요 임원들이 빈소 주변을 오가기도 했다. 이들은 취재진이 다가가 질문을 해도 별다른 대답 없이 자리를 피했다.
다만 고인 측과 정의연 관계자들은 언론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오전에는 검은 옷을 입은 고인 측 관계자가 방송국 카메라를 향해 “빼주세요. 언론 비공개로 진행합니다”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이후 이들은 빈소 밖으로 나와 복도 벽에 노란색 바탕에 검은 글씨로 “취재는 일체 거부하며 취재진의 출입을 일절 엄금합니다”라는 안내문을 붙이고 들어갔다. 안내문을 촬영하는 취재진에게도 “찍지 말라”고 했다.
오후부터는 조문객이 삼삼오오 찾아오기 시작했다. 상주(喪主)는 이 이사장과 김영순 한국여성단체연합회장 등 3명이 공동으로 맡았다. 정의연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고인의 장례는 여성‧인권‧평화‧시민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라면서 “장례위원장으로는 이 이사장 등 16명을 선임했다. 장례위원을 모집한다”고 공지했다. 매일 오후 7시에는 고인 추모행사도 마련될 예정이다.
경찰은 이날 부검을 진행했다. 경기도 파주경찰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고인에 대한 부검 결과 극단적 선택으로 추정된다는 1차 구두소견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1시간여 동안 진행된 부검에서는 복부와 팔 부위에서 주저흔으로 보이는 자상이 발견됐다. 주저흔은 치명상이 아닌 자해로 인한 손상을 말한다.
파주경찰서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팔과 복부 부분에서 흉기로 인한 주저흔이 발견됐지만 직접적인 사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상세 부검소견은 약독물 검사결과가 나오는 2~3주 뒤 나올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고인의 스마트폰을 디지털 포렌식한 뒤 필요하다면 참고인들을 추가로 소환할 방침이다.
정의연 내 회계 부정 등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윤 의원은 이날 하루 종일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국회 의원회관 530호실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기자들을 향해 “무엇을 찍으려고 기다리는거냐. 내가 죽는 모습을 찍으려고 기다리는 것이냐”면서 “상 중인 것을 알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날 윤 의원의 사무실 앞에는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윤미향 의원님 반드시 이겨내십시요!’라는 포스트잇 응원 메시지가 붙기도 했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고인의 죽음이) 제 탓인 것 같아 마음 둘 곳이 없다”고 했다.
황윤태 김지애 송경모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