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조용한 전파’에 대응해 코로나19 선제검사 범위를 대폭 확대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선제검사 범위를 유흥업소 종사자나 노숙인 등 고위험집단으로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검사대상은 서울시 선제검사위원회가 ‘고위험시설’로 선정한 장소의 종사자와 방문객들이다. 서울시가 검사받을 것을 권고하고, 대상자가 수락하면 검사가 이뤄진다. 박 시장은 “강제적으로 검사를 받게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지금껏 검사 권고 대상자 중) 누구도 거부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고위험시설’은 주로 앞서 확진자가 나왔던 장소와 가까운 곳이거나, 구조가 비슷한 곳들로 이뤄진다. 박 시장은 “학교, 학원, 콜센터·물류센터 등 밀집사업장, 요양병원·정신병원 등 고위험시설과 유흥업소 종사자, 노숙인, 무자격체류 외국인, 개척교회 등 소규모 종교시설 목회자와 교인 등 고위험집단을 선정해 지속해서 검사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이 고위험군이나 취약시설이라고 판단하는 곳도 고위험시설로 지정될 수 있다. 박 시장은 “무인 스터디카페와 무인 빨래방 등 방역전담 관리자가 없는 무인시설, 대형서점, 생활용품점, 맛집 등 다수 시민이 방문하는 실내 편의시설, 놀이공원, 수경시설 등 실외 여가시설, 소규모 사적 모임, 학술행사, 시험 등 일회성으로 대규모 인원이 집합되는 행사, 주요 학원가, 독서실, 스터디카페 등 학생 이용 집합시설 관계자들과 요양보호사, 대리운전사 등 방문업 및 돌봄 분야 종사자 등에 대한 검사도 선제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부터 일반인 공개모집 선제검사 접수에 들어갔다. 코로나19 검사받기를 원하는 서울 거주자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매주 1000명을 선정해 무료로 검사해준다. 박 시장은 “하반기 20만명에 대한 선제검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