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북측이 8일 오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남북은 통상 특별한 현안이 없더라도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두 차례에 걸쳐 연락사무소를 통해 업무 개시와 마감 통화를 해 왔다. 북한이 탈북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항의하는 차원에서 통화를 거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했으나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2018년 9월 남북연락사무소 개소 이후 북측이 전화를 받지 않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여 대변인은 “오늘 오후에도 예정대로 통화를 시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발표한 담화에서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남측의 조치를 요구하며 금강산 관광 폐지, 개성공단 완전 철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와 함께 연락사무소 폐쇄를 언급했다. 이어 5일 밤 북한 통일전선부는 대변인 담화를 통해 김 제1부부장이 연락사무소의 완전한 폐쇄' 등 조치를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제1부부장 담화가 나온 다음 날인 5일에는 남북 간 연락사무소 통화가 오전·오후 모두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남북 간 군 통신선은 이날 오전 9시 일상적 점검을 위한 개시통화가 이뤄지는 등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