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있는 20대, 치명적 ‘심방세동’ 위험 2배 이상 높다

입력 2020-06-08 10:31 수정 2020-06-08 10:33
국민일보DB

불규칙한 심장박동 질환으로 뇌졸중, 심장질환의 원인이 되는 ‘심방세동’은 그동안 나이가 많고 당뇨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왔다. 젊은 나이에 발생할 때는 대부분 유전성이나 가족력 때문이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유전성이나 가족력이 없는 20대도 만성질환이 있으면 심방세동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대 당뇨 환자는 심방세동 위험이 배 이상 높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팀(김윤기 교수, 숭실대 통계학과 한경도 교수)은 970만명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얻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유럽예방심장병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국의 성인 남녀 979만7409명의 기록을 약 8년간 추적한 빅데이터를 통해 연구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인 당뇨, 고혈압, 비만, 허리둘레, 흡연 등은 나이에 상관없이 심방세동 발병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나이에서는 만성질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여겨졌던 기존의 추측을 뒤엎는 결과다.

혈압, 허리둘레, 신장질환, 당뇨 등 여러 만성질환이 젊은층에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는 젊은층에서 큰 영향이 있고 고혈압은 전 연령대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당뇨가 있는 20대는 남성의 경우 2.46배, 여성은 2.06배 심방세동 위험이 높았다. 고혈압이 있는 20대 남성은 1.55배, 여성의 경우 2.52배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관심이 많은 질병이다. 심방세동은 발병 시 삶의 질이 다분히 저하될 수 있고 허혈성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 울혈성 심부전을 비롯해 각종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발병 요인에 대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 교수는 “심방세동은 전 연령층에서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이라며 “심방세동의 비유전적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성별과 나이를 제외한 음주, 흡연, 비만 등은 모두 노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때문에 젊더라도 방심하지 말아야 하며 음주와 흡연은 줄이고 정상 체중과 혈당 등을 유지하면서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심방세동 위험 예측 계산법을 만들었다. 이 계산법에는 나이와 성별을 포함해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요인들이 총체적으로 담겼다. 0점에서 시작해 위험 요인에 가점을 부과해 최대 15점까지 표현할 수 있다. 숫자가 높아질수록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최 교수는 “계산법을 응용해 자신의 심방세동 위험도를 간단히 예측하고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적극적인 심장 검진을 통해 치명적인 심방세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