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박정호 “서비스 출시, 젊은 직원 결정 따르자”

입력 2020-06-07 14:00 수정 2020-06-07 14:03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온라인 스트리밍 방식으로 열린 ‘비대면 타운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회사 혁신 방향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새로운 서비스 출시 전 젊은 직원들의 의사 결정을 받자고 제안했다. 또 본사 대신 집에서 10~20분 거리 사무실로 출근하는 ‘거점 오피스’의 확대도 추진한다.

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박 사장은 지난 3일 서울 중구 본사 수펙스홀에서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4시간에 걸쳐 ‘비대면 타운홀’을 진행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 사장은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슬로우 다운(천천히 행동하기)을 요구하고 있지만, ICT기업은 글로벌 위기 극복을 위해 어느 때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변해야 한다”며 “전 영역에서 구 시대 공식을 모두 깰 때”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임직원들이 대강당에 모여 사업 방향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타운홀을 정기적으로 개최해왔다. 이번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현장에 20여명의 임원만 배석하고, 임직원들은 T전화 그룹통화, 영상통화 ‘서로’ 등 다양한 비대면 솔루션을 통해 참여했다.

박 사장은 “전 세계적 언택트 트렌드는 초연결성을 제공하는 ICT기업에게 위기이자 기회”라며 “이동통신부터 뉴 ICT사업, 기업 문화까지 새로운 시대에 맞게 혁신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영상통화로 강종렬 ICT인프라센터장과 통화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박 사장은 “서비스위원회 산하 ‘주니어 보드’를 신설하고, 모든 서비스 출시 전 디지털 세대인 젊은 직원들에게 의사 결정을 받자”고 제안했다. 직원들은 댓글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SK텔레콤 경영진은 본사가 아닌 집에서 10~20분 거리의 사무실로 출근하는 ‘거점 오피스’ 확대, ICT로 업무효율을 높이는 ‘스마트솔루션’ 강화 의견에 동의하며 즉시 준비키로 했다.

SK텔레콤은 올해 4월부터 서울 서대문·종로, 경기 판교·분당에 거점 오피스를 운영하고 있다. 추후 서울 강남·송파·강서·마포, 경기 일산 등에 추가로 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날 SK텔레콤은 사업 현황도 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올해 3~4월 미디어 사업의 VOD 매출이 전년비 10% 이상 성장했고, e커머스의 거래액도 15%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경영진은 언택트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온-오프라인 유통망 장점을 연결한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 플랫폼,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확대, 언택트 출입통제 솔루션 출시, 동영상 커머스 차별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박 사장은 “직원들이 코로나로 거리를 두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디지털로 더 단단하게 결합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끝맺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