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다섯번째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의 발표다. OECD 35개 회원국(리투아니아 제외)의 1인당 명목 GDP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3만1681달러로 전체 22위 수준이었다.
이는 2018년 3만3340달러 대비 1658달러(5%) 줄어든 것으로 감소율이 다섯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감소 폭이 큰 나라는 아이슬란드(-8.1%), 노르웨이(-7.7%), 칠레(-6.7%), 스웨덴(-5.4%)이다.
감소액 기준으로는 여섯번째로 많이 감소했다. 우리나라보다 1인당 GDP 감소액이 많은 나라는 노르웨이(6315달러) 아이슬란드(5895달러) 스웨덴(2949달러) 호주(2199달러) 룩셈부르크(2081달러)이다.
1인당 GDP는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었지만 절대 금액 기준으로는 2018년과 같은 22위를 유지했다. 다만 20위 일본(4만286달러) 21위 이탈리아(3만3천146달러)와의 격차가 각각 5846달러에서 8605달러, 1159달러에서 1465달러로 더 커졌다. 23위 스페인(2만9598달러)와 차이도 2957달러에서 2082달러로 줄었다.
1인당 GDP가 감소한 큰 이유는 지난해 원화 표시 명목 GDP 성장률이 1.1%(1898조2000억→1919조원)로 2018년의 3.4%(1835조7000억→1898조2000억원)보다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또 원화 가치 하락으로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연평균 5.9%나 뛰었다. 미국 달러화 기준 우리나라 명목 GDP는 4.6%(1조7252억달러→1조6463억달러) 뒷걸음쳤다.
2019년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소득(GNI·3만2115달러)도 2018년(3만3564달러)보다 4.3%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9년(-10.4%)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명목 GNI는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이자·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역성장에 빠지고 원화 절하(원/달러 환율 상승) 추세가 이어진다면 한국 1인당 GNI가 2017년 이후 3년 만에 3만달러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3만달러는 통상 성진국의 상징적 지표로 여겨져왔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