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사회, 내항 1·8부두 개방예산 27억원 환영

입력 2020-06-05 17:30

인천시가 코로나19 위기극복과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제2회 추경으로 총 5012억원 편성하면서 내항 1·8부두 대시민 개방을 위한 예산 27억원을 편성한 것과 관련, 인천시민사회가 환영하고 나섰다.

내항 즉시 개방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인천내항시민행동은 5일 ‘인천시의 내항개방을 위한 적극적인 예산편성을 환영한다’는 논평을 통해 “오는 7월 1일부터 전면 개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선7기 인천시정부의 반환점인 7월 1일을 기해 내항 1·8부두가 시민들에게 개방되기를 학수고대하고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2015년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내항재개발을 천명하고 대시민 개방을 언급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인천내항은 여전히 인천시민들을 거부하는 철책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해양수산부가 고시한 ‘인천항기본계획 수정계획’에 따라 내항1·8부두의 항만구역 폐지는 당연히 내항1·8부두에 대한 전면적인 대시민 개방으로 이어져야 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논평을 통해 “인천항만공사는 내항1·8부두를 독점하려 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가 27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인천내항 개방에 나선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인천내항개방을 염원한 300만 인천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라고 역설했다.

이들은 최근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은 고밀도의 생활형 숙박시설 난립으로 주민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항만재개발이 본질을 벗어나 이윤추구로 전락하자 부산시민들의 ‘북항 막개발 반대 시민모임’을 결성해 반대운동에 나섰기 때문이다.


인천시민사회에서는 내항 1·8부두의 대시민 개방은 지난 45년간 산업항만으로 찌든 중구 원도심을 살리고 인천 원도심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첫걸음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들은 같은 논평에서 “인천시의 1·8부두 대시민 개방예산 편성을 계기로 인천의 정치권도 함께 나서야 한다”면서 “내항재개발 사업이 막개발 사업이 되지 않고 공공성에 기반해 후손들에게 인천해양복합문화지구로 물려줄 수 있도록 힘을 보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인천시와 중구청은 철책 제거 및 개방 행사를 시민들과 함께 준비하는 한편, 내항 주변 지역에 우후죽순처럼 허가된 고밀도 난개발이 더 이상 허용해서는 안 된다”면서 “청년 김구 선생이 노력해 만들어놓은 내항 1부두를 주변 지역이 난개발되면 경관훼손은 물론 내항의 역사문화적 가치마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